- 영문명
- A Study on Measures to Strengthen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of Stalking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조민상(Min-Sa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4호, 273~2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토킹은 일회성 행위가 아니라 행동 과정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스토킹의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운영의 개선 방안에 대해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현실적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핵심적 구성요소는 무엇인지, 무엇이필요한 것인지, 활동의 주된 역할과 설정을 어느 수준에서 고려할 것인지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된 방향은 스토킹 피해자를 중점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법령 검토는 개념 및 정의에 국한하였고, 자료 분석은 기관 제공 자료 및 선행 연구의 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다.
스토킹처벌법의 제정 목적을 고려하여 스토킹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를 중심으로 검토한 내용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한 피해자 중심의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 경찰관의 재량권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스토킹에 대한 자료 축적 및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전담 인력 및 경찰활동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적발 및 집행 이후의 사후 관리 방안의 마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stalking is a process of action, not a one-time act.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improvement of operations to protect victims of stalking.
There is a need for a discussion that can realistically protect and support victims of stalking. It aims to try a variety of approaches, such as what the main components are, what is needed, and to what extent the main role and setting of the activity will be considered, focusing on the stalking victim.
Since the main direction of the study was focused on victims of stalking, the review of laws was limited to concepts and definitions, and data provided by institutions and data from previous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 the contents and proposals reviewed mainly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stalking crimes are as follows. First, a victim-centered approach strate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iscretion of field police officers. Third,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and manage data on stalk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set priorities for dedicated personnel and police activities. Fifth, it is proposed to prepare a follow-up management plan after detection and enforc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스토킹범죄 피해 현황 및 특성
Ⅳ.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세대 구분의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 해상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고찰: 경직법 제3조 불심검문을 중심으로
-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사전적 경찰활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PTED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CPTED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를 처리하는 경찰관들의 어려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 中韩犯罪嫌疑人辩护权利保护比较研究
- 언론 보도 및 소셜미디어 분석을 이용한 1인 가구 범죄의 사회적 인식연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정정서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의 폭력태도에 대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육군병사의 성(性)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큐리티 분야에서 드론 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통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 현행범 체포의 법적 요건에 관한 고찰: 가정폭력·스토킹 등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 운영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논의: 광주광역시 주민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보이스피싱의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