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Preventing and Countering Violent Extremism in Korea: Case Study in the Settlement of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보라(Bora Park) 이수정(Soo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4호, 101~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작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수도 카불 점령 후 미라클 작전을 통해 국내에 입국한 아프가 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의 정착 사례를 테러예방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 (P/CVE)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중 40%에 달하는 인원이 울산에 정착하였으며, 이들과 함께 온 자녀들은 2022년 3월부터 국내 학교 등교를 시작하였다. 이에 울산내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고, 울산 교육청을 중심으로 갈등 당사자 교육이 다각도로 진행되었 다. 이 교육이 완벽하게 P/CVE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서 진행된 이주 무슬림 공동체와 관련된 교육 중 국제 사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P/CVE에 가장 근접한 형태이다. P/CVE에 전사회적인 접근이 필요한 만큼 정부기관과 법집행기관, 이슬람 전문가가 합류하여 진행한 점은 강점에 해당하나, 교육청과 교육 실무 종사자, 사회복지사에만 업무가 편중되었다는 약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산에서 실시한 아프간 특별기여자 사회 정착 프로그램이 정착민과 원주민간 공존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은 긍정 적인 신호이다. 다만,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는 다문화 개념의 확장 필요성, 예방 정책 수립을 위한 지속적 투자 및 지원 필요성,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 프로그램 전문가 육성 필요성은 현재 우리가 갖추지 못한 위협 요소이자 향후 극복 요소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ettlement cases of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who entered Korea through Operation Miracle after the Taliban's takeover of Kabul, the capital of Afghanistan,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ng and Countering Violent Extremism(P/CVE), a new paradigm of terrorism prevention. About 40% of Afghanistan's special contributors have settled in Ulsan, and their children started going to school in March 2022. As a result, there was opposition raised from the residents in Ulsan, and education program targeting the conflicting parties was conducted based on diverse perspectives driven by the Agency of Education in Ulsan. Although this education program does not perfectly fits the concept of P/CVE, it is the closest to the P/CVE drive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mong the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migrant Muslim community in Korea. The fact that government-related agencies,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Islamic experts joined together is identified as a strength from SWOT analysis, but there remains a weakness in that the program is focused on the Agency of Education, education practitioners, and social workers. Nevertheless, it is a positive sign that the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 Settlement Program in Ulsan is leading to coexistence between settlers and indigenous peoples. However, the need to expan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currently used in Korean society, the need for continuous investment and support to establish preventive policies, and the need to nurture experts in the P/CVE are threats that we are not currently equipped with and factors to overcom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P/CVE)의 이론적 배경
Ⅲ. 아프간 특별기여자 정착 사례SWOT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의 세대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세대 구분의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 ‘2021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 해상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적용의 한계에 관한 고찰: 경직법 제3조 불심검문을 중심으로
-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 방안
- 경찰의 자살대응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소진이 사전적 경찰활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CPTED 관련 조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안시 CPTED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스토킹범죄를 처리하는 경찰관들의 어려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 中韩犯罪嫌疑人辩护权利保护比较研究
- 언론 보도 및 소셜미디어 분석을 이용한 1인 가구 범죄의 사회적 인식연구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부정정서가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의 폭력태도에 대한 차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 육군병사의 성(性)적침해 인식이 인권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시큐리티 분야에서 드론 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통 기본교육을 중심으로
- 현행범 체포의 법적 요건에 관한 고찰: 가정폭력·스토킹 등의 피해자 보호를 목적으로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LMX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도 운영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논의: 광주광역시 주민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 보이스피싱의 실태 및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