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auses of Dating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홍태경(Tae-Kyung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491~52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데이트폭력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폭력 발생실태를 파악하고 데이트폭력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30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10.2%는 신체적 폭력 경험이 있었고, 24.3%는 심리적 폭력을 가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응답자의 5.7%는 성적 폭력 가해경험이 있었으며 56.4%는 통제적 폭력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적 폭력에서는 남성의 가해경험이 많았고 나머지 폭력에서는 여성의 가해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신체적 폭력은 응답자의 충동성과 부부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리적 폭력은 충동성과 부부폭력 목격경험, 교제기간과 이성교제 횟수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성적 폭력에서는 이성교제 횟수가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통제적 행동에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데이트폭력에 대한 몇 가지 대응책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begun to seek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dating violence, which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incidence of dating vio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dating viole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Finally, 53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10.2%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physical violence, and 24.3% of them had experience in psychological violence. In addition, 5.7% of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s that they had experience in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at 56.4% of them had experience in controlling violence perpetr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an difference of experience i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by gender,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ale's experience of perpetration was higher in sexual violence, and that the female's experience of perpetration was higher in the rest of viol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dating violence,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respondents' experience in witnessing the impulsivity and domestic violence had a strong influence in physical violence. Psychological violence wa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impulsivity and spousal violence, and period of dating and number of dating. In sexual violence, the number of dating was proved to be the strongest influencing factor. And in controlling behavior, stereotypes about gender roles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proposed some countermeasures against dating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 박사학위논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청소년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한국심리학회지
- 모래놀이치료연구
- 미래사회복지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대한여성건강학회: 여성건강
- 한국여성의전화
- 석사학위논문
- 청소년학연구
- 사회과학연구
-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화 논문집
- 박사학위논문
- 석사학위논문
- 한국 지역사회복지학회
- 대한가정학회지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015년 춘계학술대회
- 생활과학연구논총
- 한국청소년연구
- 계명간호과학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과학연구
- 사회과학연구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경찰학 연구
-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Social Psychology Quarterly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 Clinical Psychology Review
-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 Family Relations
- Family Relations
- Psychological Review
- Violence Against Woman
-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 Youth Adolesc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Violence and victims
- Violence Against Women
- Aggress Violent Behav.
- Journal of Family Violence
- Journal of Family Issues
- Violence Against Women
- In M Pirog-Good, & J. Stets (Eds.), Violence and dating relationship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