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gal Action Plan of Getaway Car Driver no Comply with Stop and Search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용수(Yong-Soo Park) 이동임(Dong-Im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141~1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로교통법 제47조의 규정에 따라 경찰공무원의 음주단속은 주·야를 막론하고 언제, 어디서든지 불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음주운전자가 적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음주단속을 통한 처벌기준은 혈중알코올 농도가 0.05% 이상의 경우에만 형사상 처벌 및 행정적 처분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다수의 음주운전자가 적발 시 가장 두려워하는 부분이 벌금형이나 징역형 등의 형사상 처벌보다는 면허정지나 면허취소를 당하는 행정적 처분일 것이다. 즉 음주운전으로 한 번 면허가 취소되면 1년간 면허를 취득할 수 없다. 따라서 운전을 업으로 하는 운전자는 삶과 직결되기 때문에 치명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점 때문에 음주운전자는 음주단속에 걸리지 않기 위해 음주단속 현장에서 필사적으로 도주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음주운전자가 음주단속을 피하기 위해 도주할 경우 경찰공무원이 추적하여 검거하더라도 도주행위 그 자체에 대해서는 법률불비로 아무런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점이다.
도주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의 흠결은 도주를 활성화시키고 잠재적 도주자에게 도주가능성을 항상 열어놓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위험운전의 하나로 음주운전자가 도주할 경우 정신적 판단 미숙과 신체적 대처능력의 미흡으로 교통사고 위험성이 높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통사고의 가해자는 “되돌릴 수 없는 후회”가 발생할 수 있고, 교통사고 피해자는 가정이 송두리째 파괴되거나 신체적 장애로 평생을 고통 속에서 살아갈 수 있다. 따라서 음주단속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검문 불응죄나 도주죄를 신설하여 처벌할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accordance with Article 47 of the Road Traffic Act, many drunk drivers have been caught because police officers are not allowed to drink alcohol anytime and anywhere regardless of state or territory. Criminal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are conducted only when driver’s blood alcohol level is 0.05% or higher.
When drunk drivers are caught, what a large majority of them fear the most is neither fine nor imprisonment, but suspension or revocation of the driver’s license. Once a driver’s license is revoked due to drunk driving, it cannot be reinstated for a 12-month period. Indeed, this can certainly be a fatal blow to a driver whose livelihood depends directly on driving a vehicle. For these reasons, it is quite frequent to see cases of the random checkpoint from which a drunk driver desperately attempts to flee not to be caught. The problem is that a police officer cannot hold a drunk driver legally responsible for his flight even when the police officer chases after and arrests the driver who flees the scene to avoid the sobriety tes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punishment regulation on such flight of a driver.
This legal flaw may indirectly encourage such flight and cause a consequence that indirectly leaves a possibility to flee for a drunk driver who is already a flight risk. Especially, since a drunk driver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driver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may lead to a higher risk of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fact that a drunk driver fleeing the scene is not capable of making any sound judgment or of reacting with any prompt physical response. An at-fault party of a traffic accident may put in an irreversibly regrettable situation, and a victim of the accident may become physically disabled and may have to live in pain throughout his life, which may also completely destroy they of family. Therefore, a sobriety test disobedience or a flight offense must be newly recognized as a crime to establish the legal ground on which such punishment can be imposed in order to prevent these cases where a drunk driver refuses to take the sobriety test or flees from the scen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불심검문을 통한 음주측정거부 및 도주행위 처벌여부
Ⅳ.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 처벌규정 마련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