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Priority Settling of the Factors for Improvement in Police Service through Need Analysis : Focusing on Civilians Visiting Police Station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한종욱(Jong-Wook Han) 김문귀(Moon-Kwi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443~46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경찰작용은 경찰권 발동과 이로 인한 국민의 피해에 대한 구제라는 행정법적인 틀을 넘어서 경찰활동 대상인 국민을 고객으로 생각하며 국민의 눈높이를 맞추는 국민편의 중심의 행정으로 그 패러다임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경찰청에서는 연 2회 경찰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이 경찰청 조사자료를 이용한 경찰서비스 개선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경찰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 향상과 관련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주민 만족과 서비스 요소간의 상관분석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비스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요인의 우선성과 한계성을 설정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경찰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의 우선적 선택과 한계를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성남시 수정경찰서를 방문하는 민원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요구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만족 측정 요인 26개 가운데에서 ‘친절’, ‘통지’, ‘편의시설’ 등 여섯 개 항목 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절차 개선’, ‘신속한 처리’ 등 아홉 개 항목은 다음 순위로 개선할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aradigm of current policing is, beyond the framework focusing exercise of police powers and relief of public damages, changing to the public convenience-oriented administration considering the public as customers, who are objects of policing, and meeting their needs. In concert with this shift of paradigm,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urveys and evaluates the public’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service twice a year, and the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olice service, using this survey data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are actively conducting.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public’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service shows merely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ublic’s satisfaction and police service factor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ndicate clearly the orientation of improvement of police service. However, they don’t establish the priority and limit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public’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service.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riority and limit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public’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olice service. To carry out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202 civilians who visit the Seongnam Sujeong Police Station and the needs analysis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need analysis, six factors including 'kindness', 'notice' an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selected among the 26 measuring factors to be improved for service satisfaction. Next 9 factors including 'improvement of process', 'quick handling’ ranked as second priority.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which mainly focused on correlation-based analys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ettling limits to the factors that should be improv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문헌 연구
Ⅲ.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종욱(Jong-Wook Han),김문귀(Moon-Kwi Kim). (2018).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5 (2), 443-464

MLA

한종욱(Jong-Wook Han),김문귀(Moon-Kwi Kim).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5.2(2018): 443-4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