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ause and the Countermeasures of Police Officers' Suicid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덕환(Duck-Hwan Kim) 박동균(Dong-K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21~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경찰공무원 중 2013년 17명, 2014년 21명, 2015년 18명, 2016년 26명, 2017년 22명이 자살로 사망하였다. 이는 순직한 경찰관 숫자인 80명 보다 많은 104명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전체공무원 자살률은 8.4명인데 비해 경찰공무원은 같은 기간 18.4명으로 전체 공무원의 자살률 평균보다 2.4배나 높다. 이처럼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업무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경찰공무원의 자살은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찰공무원의 자살은 단순하게 경찰 개개인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치안서비스 및 공권력 집행 수단의 손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료경찰의 자살을 목격한 경찰공무원들은 그 연쇄적 반응으로서 무력감을 느낌에 따라 적극적 치안서비스의 제공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단순한 개인문제가 아니다.
경찰공무원은 대면자의 문제행동, 언어폭력과 범죄자들의 악의적인 괴롭힘, 인사문제, 근무여건문제, 동료 및 상관으로부터 직무스트레스, 직장내 인간관계가 경쟁적이고 평가중심으로 인하여 감정노동에 시달리고 경쟁적인 치안성과 시스템으로 인하여 격무에 시달리고, 야간근무 교대근무 그리고 각종 사건 사고로 인하여 다른 공무원들과 달리 정신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최근 경찰청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자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명사랑지킴이 교육을 활성화 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첫째, 야간근무 등 교대근무자의 휴식 및 근무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나친 치안성과평가로 인한 과중한 업무 부담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총기소지 규제를 강화하여 총기로 인한 자살 상황을 줄여야 할 것이다. 넷째, 최근 논의되고 있는 경찰공무원 직장협의회 발족을 도입해야 한다. 다섯째, 특화된 경찰 마음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을 확대 운용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경찰공무원의 안전은 국가가 지켜주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National Police Agency statistics on the cause of police officers' suicide, and the cases of actual suicides, and subsequently to investigate the countermeasures for such suicides.
Unlike other civil servants, police officers have an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places substantial stress on them due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night and holiday work caused by extremely competitive policing demand and the excessive amount of incidents and accidents. Due to the nature of such work, some police officers consider suicide and often accumulated causes lead to committing it.
Recently, 26 police officers committed suicide in 2016, and 22 in 2017.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police officers' suicide by each cause, and the cases of suicide showed that the most typical causes of suicide were the domestic problem caused by family trouble due to frequent night shift, excessive amount of work, mental pressure due to accumulation of stress caused by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and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Henc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countermeasures for the aforementioned causes that have a crucial impact on the suicide of police officers. First, shift conditions of police officers such as night shift need to be improved. Second, the excessive work burden due to the high demand of policing performance needs to be improved. Third, the regulation of possession of guns needs to be strengthened to prevent suicide by a gun. Fourth, a police staff council should be launched as soon as possible. Fifth,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education specialized for police officers need to be developed and expanded. This study has a high value since the subject is discussed in a timely manner given that currently the cases of police officers' suicide are increas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of help, albeit small, f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promote and create the suicide prevention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경찰공무원의 자살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Ⅲ. 사례분석: 경찰공무원의 자살현황 및 원인
Ⅳ. 경찰공무원의 자살예방 대책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