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Leading Method of School Police : Based on the Evaluation of School Police Awarenes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주한(Ju-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51~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전담경찰관(이하 학교경찰)은 2012년에 학교폭력 감소를 위해 전국 경찰서에 설치되었고 소년범죄자 검거실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2012년도에 검거 후 기소된 소년범죄자가 10만 명을 넘기었다. 정부에서는 소년범죄자에 대한 엄정한 대응이 청소년폭력을 줄이는 방법이라고 강조를 하였고 지속적인 소년범죄자 검거로 박근혜정부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응답율(이하 피해 응답율)이 2012년도 9.6%에서 2016년도에 0.8%로 감소하고 비행청소년에 대한 엄정한 대응의 결과로 학교폭력이 감소하고 안정화되었다는 발표를 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정부는 학교경찰의 임무를 변경하여 소년범죄자 검거를 통한 소년범죄감소보다는 상담·교육 및 지원을 통한 선도방법을 선택하여 소년범죄를 감소시키고 대상을 확대하여 학교 내 및 학교 밖 청소년까지 관리하는 등 학교경찰의 역할이 변화하는 시점에 서 있게 되었다.
과거 정부의 비행청소년에 대한 엄정한 대응으로 인하여 매년 소년범의 재범과 3범이 두 자리 수 이상 증가하는 상황에서 소년 범죄자에 대한 다이버전 프로그램의 진행은 범죄청소년을 감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가 되었다. 그러나 다이버전 프로그램을 이수한 많은 청소년이 재범과 3범을 저지르고 기소되는 경우가 많아져 청소년선도에 대한 새로운 개선대책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의 소년범죄 및 학교폭력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연구자는 청소년의 범죄감소 및 선도 등의 문제 개선을 위한 연구에서 학교경찰관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자료 분석자와 상담심리교수의 감수를 통한 합의적 질적 분석을 하였고 학교 안팎 청소년 선도로 확대된 학교경찰의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연구자는 학교경찰의 역할변화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 상황에서 자료 분석자와 코딩작업을 통하여 3개 범주와 23개 하위범주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였고 연구과정에서 학교폭력예방방법과 자치위원회의 개선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소년범의 다이버젼 프로그램의 한계를 설명하고 소년범죄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선도프로그램 개선과 심리상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학교 밖·가정 밖 청소년의 문제해결을 위한 책임부서지정 및 지원제도확대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2012, school police officers (the school police) were set up at police stations nationwide to reduce school violence an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atmosphere that counts the arrest of juvenile offenders, over 100,000 were indicted after arrest in 2012 The government has strict measures for juvenile offenders on ways to reduce juvenile violence and persistent juvenile offenders Park Geun-hye, the government to arrest.0.8 percent from 9.6 percent in 2012 to 2016, the response rate (damage under the response rate) for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y for an impartial response to violence as a result of the school.Reduction and stabilization made the announcement.
The new government, however, has allowed the police to expand the scope of school police from schools to young and inner schools, and the policy of juvenile delinquents to change their roles through counseling, education and support rather than the reduction of juvenile crime through arrests In the past, with the number of juvenile delinquents and the number of juvenile offenders increasing by more than two digits due to the government's pre-collection rather than a lead, the implementation of the Diversion Program for juvenile offenders has reduced juvenile delinquents However, while the study on the Die Version program focuses on guiding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activation of the Die Version program, it has become a reality that a large number of teenagers who have completed the Die Version program are charged with committing a second convic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esearcher, who is in charge of local juvenile delinquency and school violence, held a long period of discussion and research with school police to solve problems such as leading and protecting juvenile delinquent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developed through an agreed qualitative analysis of data analysts and psychology counseling professors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as expanded to lead police and teenagers outside schools The researchers responsible for the current local school police service have derived concepts for three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hrough data analysers and coding work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changing role of school police.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school police presented their opinions on how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improve the contents of the school council. It also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the youth offender's die version program and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guided program improvemen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o prevent and reduce juvenile delinquency.It also suggested designating a responsible department to solve problems for youth outside of school or outside of home and establishing an improved suppor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