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and Tasks of Police for the Safe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강문(Kang-M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213~2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치매노인의 증가로 인해 치매노인을 위한 시설확대와 가출예방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맞추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에 경찰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치매노인이 가출할 경우 경찰의 수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동원인력들은 강력범죄에 비슷할 만큼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가출예방과 보호지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치매노인 부양가족 및 경찰의 역할을 고찰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치매 노인 안전정책에 대한 이론적 근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찰은 치매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인프라 구축과 정보공유시스템을 통해 치매노인보호를 위한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데 지속적으로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별로 다른 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은 치매노인안전 강화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보건복지부와 협력하여 취약 노인돌봄체계를 구축하고 치매노인들을 보호하며 민간단체들과 협력을 통해 가출 치매노인의 조기발견에 도움을 주는 등 사회안전망의 구축은 치매노인보호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대책이 될 것이다.
앞으로 경찰은 치매노인의 가출방지를 위한 순찰과 방문활동 등을 통한 가출시 초기발견과 경찰의 신속한 수색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치매노인 가출 활동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체계적,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해 경찰청 주도의 노인안전을 위한 전담부서를 신설하는 방안을 포함한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종 사건 등과 같은 각종 사건 사고발생 시 빠른 대처와 예방을 위하여 다른 유관 기관의 협력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보건복지부와 협력을 통해 치매노인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치매노인의 가출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치매노인보호활동의 강화를 하기 위해서는 경찰기관의 단독적 활동으로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여러 정부기관과 민간단체, 지역사회 등과 연계한 종합적인 사회안전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에 덧붙여 치매노인보호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의 제고를 위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홍보 및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various measures for the extension of the facilit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prevention of the runaway have been met, but the trend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burden of the police is increasing.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run away, the time and mobilization time for police search are similar to the violent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mented elderly 's safety policy based on the role of the dependent family and the police in order to solve the runaway prevention and protection support of the demented elderly more effectively.
In order to protect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police need to continue to cooperate in constructing safety infrastructure and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 addition,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by collaborating with other organizations by region will greatly enhance the security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uilding a vulnerable elderly care system, protecting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helping early dete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hrough cooperation with private organizations is a very effective measure for the prote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ill be.
In the future, the police should make early detection and police search faster by patrolling and visiting activities to prevent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running awa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stitutional devices including thoroughly preparing the elderly dementia elderly people 's activities and establishing a department dedicated to the elderly safety led by the police agency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and prevent various kinds of incidents such as disappearance of demented elderly people, we actively solve them through cooperation of other related agencies and actively manage the demented elderly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ou should prevent runaway.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activitie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 independent activities of police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comprehensive social safety net system in cooperation with various government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various publicity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social environment for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치매노인보호에 대한 경찰의 역할
Ⅳ. 치매노인보호를 위한 가출방지대책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