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Police-Security Co-op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송병호(Byung-Ho Song) 김영배(Young-B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치안공조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을 활용함으로써 법집행기관과 사회구성원의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특히, 최근 미국, 프랑스 등 해외의 경찰과 민간의 파트너십 패러다임에 주목했다. 이러한 민간공조에 대한 동향을 국내에 접목시키기 위해 용역형, 자원봉사형 등 세부적인 활용방법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국내 치안공조에 대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범죄발생 현황과 사건의 처리 및 경과에 대한 실태를 통해 경찰력의 한계, 시민의 안전의식 증대와 같은 시대적 요인을 제안했으며, 경찰과 민간경비의 치안공조의 고찰을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했다. 영국, 일본과 같이 민간경비에 대한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고 수요와 공급차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민간경비의 시장 환경이 일반적인 상품을 소비하는 경우와 달리 소비자의 개인적 의사보다 국가의 정책변화, 입법의 태도, 사회구성원의 요구 등에 좌우됨을 확인했다. 따라서 민간경비의 신뢰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변화를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시행해야하는 시점이며, 해외의 상황에 비해 그 시급함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민간경비의 공급측면에 대한 분석에서 실제 민간경비의 역할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분야의 공급이 필요하며, 경찰기관의 인력 및 교육훈련의 물리적 어려움에 대한 측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치안공조의 파트너임을 인식하고자 해야 한다. 따라서 경찰은 민간경비가 전문성이 낮고 교육훈련이 덜되어 맡길 업무가 없다고 불신할 것이 아니라 치안공조의 파트너임을 인식하고 교육훈련 등 다양한 협조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draw up a debate that could lead to the consensus between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members of society by using the theory of the need for security cooperation. In particular, we have recently paid attention to the paradigm of partnership between the police and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In order to incorporate trends in civil aviation in Korea, we tried to analyze the details of utilization methods such as service type and volunteer type. As a part of the necessity of domestic security coopera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rime and the facts about the process and the progress of the crime have suggested the time factors such as limitation of police force and increase of citizen's safety consciousnes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easures to increase confidence in private security such a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and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levels confirms that the market environment of private security differs from that of general goods.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state policy and legisl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sumer's personal opinion. Therefore, it is time for the government to actively implement the policy changes that can enhance the confidence of private expense, and it is urgent that it is urgent compared to the situation abroad. Finally, the analysis of supply side of private expense shows that the role of private private expense may be limited and it is necessary to supply specialist field, and in the various aspects such as the personnel of police agency and the physical difficultie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refore, the police should be aware that the civilian security is a partner of security cooperation, not a mistake that the professionalism is low a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is not enough to do the job, and various cooperation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치안공조의 조건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