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Collabora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Youth Drugs Misus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성애(Sung-Ae Lee) 조호대(Ho-Dae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2호, 303~3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마약류사범에 관련된 공식통계를 살펴보면, 청소년 비율은 타 연령에 비해 높지 않으나 청소년 마약류사범과 청소년 약물 오남용 현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예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약물 오남용을 방지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단행본·학술지·학위논문을 토대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검찰청·경찰청의 공식통계를 바탕으로 마약류 범죄현황을 살펴보았다. 미국은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기관 간 협력 체제를 통해 예방조치를 하고 이 문제에 대응하고 있어 미국의 예방시스템과 프로그램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마약류 오남용에 예방·대응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자체는 지역 내 유관기관을 관리하고 통제하며, 지역사회 유관기관 간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관련기관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청소년 오남용 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보급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수준을 평가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대응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식과 홍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fficial statistics on drug offenders show that the youth rate is not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but the number of youth drug offenders and misuse cases continues to increase, which requires preven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and respond to misuse of youth drugs.
The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journals and looked at the status of drug crimes based on official statistics from the prosecution and police stations. The U.S. has taken preventive measures and responded to the problem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social institutions to prevent misuse of drugs by youths. After looking at the U.S. prevention system and program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prevent and respond to drug abuse by Korean youths. First, local governments should manage and control related agencies in the region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among relevant local community institutions. Second, prevention education and program distribution for youth misuse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Third,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responding to guidelines for assessing and responding to levels of misuse of youth drugs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survey and education on awareness and promotion to reduce misuse of youth dru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실태 및 예방현황
Ⅳ. 지역사회협력시스템 구축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행정업무운영제도에 관한 개선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경찰과 민간경비의치안공조에 관한 소고
- 학교경찰관 인식에 따른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 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 경찰관 인식 진단을 중심으로
- 인질구출 작전의 성공요인 분석 : 이스라엘과 한국 사례연구
- 4차산업혁명과 민간경비산업의 정책이슈
- 특수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 :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검증
- 광역과학수사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수사상 GPS위치추적기 활용을 위한 법적연구
- 청소년 마약류 오남용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집회시위 참가인원 추산 및 공개에 관한 경찰실무에 대한 고찰
-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 테러경보시스템의 운용 현황과 발전 방향
- 경찰공무원의 자살원인 분석과 예방대책
- 성폭력 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예방책 모색 : 성폭력 범죄 피해자와 수사 담당자에 대한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 여성안심귀가 서비스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의 안전을 위한경찰의 역할과 과제
-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가해실태와 가해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 및 상업시설에 대한 방화범의 프로파일링
- 요구분석을 통한 경찰서비스 개선요소 우선순위 결정 연구 : 경찰서 방문 민원인을 중심으로
- 불심검문 불응 도주운전자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
-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2018년 개정법을 중심으로
- 论未成年人刑事法律援助制度的完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