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Port Acceptance and Policy Support Demands among Port Hinterland Residents: An Empirical Study
발행기관
경인행정학회
저자명
송효진(Hyojin Song)
간행물 정보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3호, 197~22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항만은 국가 경제와 지역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이지만, 산업구조 변화로 지역 일자리 창 출 효과는 감소한 반면, 소음·대기오염 등 부정적 외부효과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편 익의 불균형은 주민 수용성 확보를 중요한 과제로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인근 지역 주 민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항만 수용성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 수용성을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지역산업 육성 지원 요구 (β=.515)’로 나타났다. 이는 주민들이 추상적 국가발전 담론보다 개인 삶과 직결된 실질적 편 익을 중시함을 시사한다. 또한, 환경적 위험 인식이 존재함에도 수용성은 위험-편익의 균형과 정책 신뢰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에 항만정책은 단순 보상이나 홍보를 넘어 지역사회와 의 신뢰 구축과 공정한 편익 분배를 통해 지속 가능한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운영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외부불경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원 항목·재원·거버넌스·책 임 주체를 명확히 제도화하는 법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Ports are key infrastructure for national economy and regional revitalization, but recent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have led to a decrease in local job creation effects while simultaneously increasing negative externalities such as noise and air pollution. This imbalance between costs and benefits makes securing public acceptance a critical challenge.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port acceptanc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0 residents in port-adjacent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ongest factor determining port acceptance was the ‘demand for support for local industry development (β=.515)’. This indicates that residents prioritize tangible benefits directly linked to their personal lives over abstract national development narratives. Furthermore, despite existing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risks, acceptance was more sensitive to the balance between risk and benefit and trust in policy. Accordingly, port policies must secure sustainable public accept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rus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benefits, moving beyond simple compensation or public relations efforts. In conclus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legal framework that clearly institutionalizes support items, funding sources, governance, and responsible parties to address the persistent negative externalities that occur during the operational pha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효진(Hyojin Song). (2025).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25 (3), 197-220

MLA

송효진(Hyojin Song).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25.3(2025): 197-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