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presentation of Women and the Role of Wives in Korean Local Magazines in the 1980s : With a Focus on the ‘Yehya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창근(Chang-ge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223~2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n society in the 1980s was a time when various conflicts erupted in all area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and economy. Among them, the chaos experienced by Gwangju and Honam was so intense that it could not be compared to any other region. In particular,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May 1980 stigmatized Gwangju and Honam as areas of riots and rebellion for a while. The dictatorship consolidated the media to control public opinion, and as a result, newspapers and media outlets representing the region disappeared. In this situation of extreme confusion, the local magazine Ye-hyang appeared. The magazine Ye-hyang puts Honam as a region that loves art and culture, but various desires were hidden behind it. The Ye-hyang explicitly revealed its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and tried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Among them, what stands out is the reproduction that reflects stereotypes and prejudices toward wome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shows the power of men over women in a patriarchal ideological society. However, there is also the peculiarity of the times faced by men in Gwangju and Honam. This incident, in which countless people fought against unjust power, was concealed and distortion and insults were added again. The magazine ��Hometown�� can find the deficiency, compensation psychology, and desire for recognition of Jeolla-do men who lived through this era.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집 밖의 여성들
3. 전라도 여성되기
4. 재현의 실패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