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ㅔ→ㅣ High-Vowelization’ in Boeun and Dangjin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Mid-to-Late 20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유소연(So-yeon Y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Yeosohak, Monghakicheonja, and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in Korea to understand the realization of ‘ㅔ→ㅣ’ high-vowelization in the Boeun and Dangjin region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mid-to-late 20th century. In Yeosohak,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rigger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word-intern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whereas in Monghak icheonja,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only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word-initi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and a trigger factor are present. In addition, in the Boeun region data of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in Korea,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rigger factor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word-intern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but in the Dangjin region data of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in Korea,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only in an environment where a trigger factor exists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word-intern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Therefore,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differently in the Boeun region and the Dangjin region even within the Chungcheong region. In addition, in Yeosohak,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onl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riggering factor of ‘ㅔ→ㅣ’ high-vowelization is confirmed, but in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in Korea,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riggering factor is not confirmed. And in the case of Monghakicheonja, ‘ㅔ→ㅣ’ high-vowelization is realized only in the word-initi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but in Dialect Sourcebook Publication in Korea, it is realized in both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the word-internal position of the lexical morpheme.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ㅔ→ㅣ’ high-vowelization was more productive in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than in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is i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ound value of ‘ㅔ’, which is related to the trend of realizing ‘ㅕ>ㅔ’ monophthongizatio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20세기 중・후기 보은과 당진 지역의 ‘ㅔ→ㅣ’ 고모음화 현상
4. 19세기 후기∼20세기 전기 보은과 당진 지역의 ‘ㅔ→ㅣ’ 고모음화 현상
5. ‘ㅔ→ㅣ’ 고모음화 현상과 ‘ㅕ>ㅔ’ 단모음화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