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opo Kim Man-jung’s Sense of Coexistence about Literature and Its Expression in Guunmo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진영(J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eopo Kim Man-jung’s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with literature is expressed in his novels and to reveal its value. To this end, Seopo’s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with literature is examined, how it is expressed in Seopo’s novels, and the value of Guunmong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are examined. The abov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Seopo’s sense of coexistence with literature. Seopo had an open and flexible view of literature. In his enjoyment of literature, he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or the noble and the humble, and he valued not only the right path of classics and history but also the utility of the right path based on the emotion of literature. Finally, with his sense of coexistence with the Chinese and the barbarians, he broke away from the idea that only Chinese literature and Confucianism were right, and evaluated the literature and thought of other ethnicities as valuable.
Second, we examine the novelistic expression of the coexistence consciousness that Seopo maintained. Based on the coexistence consciousness that he maintained, Seopo emphasized the harmony of social status, the fusion of thoughts, and the harmony of harmony in Guunmong. In Guunmong, a Confucian-educated character practices the utmost goodness and creates a harmonious world.
Third, we examined the value of the novel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By emphasizing the harmony of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coexistence, the volume of the narrative of the novel could increase, and in the process, the types of the novel could become more diverse. In addition, by defining sacrificing for the community as good and violating it as evil, we established the Confucian view of good and evil. Finally, by shaping the ideal world according to the Confucian system and ideology, we were able to greatly expand the audience for the novel.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공존의식의 양상
3. 공존의식의 소설적 발현
4. 공존의식을 통해 본 <구운몽>의 가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