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inguistic Approach to Refining Legal Sentences for Plai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현희(Hyu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59~9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problematic legal provisions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drawing on recent legislative language reform initiatives undertaken in Korea. It provides linguistic rationales for revision and proposes concrete strategies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clarity of legal sentences. Legal texts function as the minimal shared standards that underpin social order, and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language, they should be written in linguistically accurate and contextually appropriate Korean.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classifies problematic legal provisions into four categories: grammaticality, conciseness, logicality, and everydayness. Based on this framework, the paper proposes targeted revision strategies, including correcting syntactic structures, adjusting grammatical particles to clarify argument-predicate relationships, and eliminating redundant or ambiguous expressions to improve readability.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structuring sentence components to enhance logical flow and replacing overly formal or technical language with expressions more familiar to everyday Korean speakers. Notably, a single legal provision may exhibit multiple types of problems, thereby requiring multi-dimensional revisions.
Although the practical impact of linguistic revisions may appear limited relative to the effort involved—and may not always align neatly with legal considerations—this study underscores the essential role of linguistic clarity in promoting legal transparency and inclusiveness. Despite the challenges of integrating such revisions into the formal legislative process, legal texts, as prototypical examples of public and formal written language, offer significant value as research material in linguistic inquiry. This study ultimatel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at bridge linguistics and law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functionality of legal languag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법제 기준과 법령 문장 정비의 필요성
3. 법령 문장 정비의 유형과 실제
4. 남은 문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