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ridging Cognitive Psychology and Korean Vocabulary Education: Exploring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Memory Encoding Theor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심지연(Jee-yun S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269~2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ognitive psychological theories-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three stages of memory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ffer meaningful pathways for understanding learners’ mechanisms of language use.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plores key insights from cognitive psychology that aim to scientifically identify the mechanisms underlying human language processing and applies these findings to the field of Korean vocabulary instruction. Five major theories (or concepts) from cognitive psychology are discussed: the Levels of Processing framework, precise elaboration (as a way to clarify deep processing), generation, self-reference, and the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In addition, the study introduces Technique Feature Analysis as a framework to contextualize deep processing and elaboration in vocabulary learning, thereby serving as a bridge between psychology and pedagogy. Based on these theoretical foundations, Chapter 4 proposes four core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revisiting of classic theories in cognitive psychology, originally developed in the 1970s, and i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seeks to recontextualize them to yield new educational insight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기억의 ‘부호화’에 관한 인지심리학 이론
4. 기억의 ‘부호화’ 관련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원리 및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인지심리학과 어휘 교육
기억과 어휘 학습
부호화와 어휘 학습
처리수준 모형과 어휘 학습
자기 참조와 어휘 학습
정확한 정교화와 어휘 학습
부호화 특수성 원리와 어휘 학습
Cognitive Psychology and Vocabulary Instruction
Memory and Vocabulary Learning
encoding and Vocabulary Learning
Levels of Processing Framework and Vocabulary Learning
Self-reference and Vocabulary Learning
Precise Elaboration and Vocabulary Learning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and Vocabulary Learning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 한국어학
- 이중언어학
- 국어교육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새국어교육
- 한국어교육
- 학지사
- 국어국문학
- The handbook of memory disorders
- Psychology Press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 The Oxford handbook of memory
- Journal of Verbal Learning & Verbal Behavior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 System
- Applied Linguistics
- Memory
- Heinle, Cengage Learning
-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Learning and Memory
- Journal of Verbal Learning & Verbal Behavior
- Psychological Review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