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wo Branches of ‘Jang-saeng Narrative’: The Jang-saeng Series and the Jang-doryung Ser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배아영(A-young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127~1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divides the works of “Jangsaeng narrative” into the Jangsaeng series and the Jangdoryeong se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name. It then analyzes the first works of each series: Heo Gyun’s (許筠, 1569-1618) “Jangsaengjeon (蔣生傳)” and Lim Bang’s (任埅, 1640-1724) “Jirisanromibongjin (智異山路迷逢眞)”.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names “Jangsaeng” or “Jangdoryeong” given to the characters in the initial works of each series encapsulate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ir respective works and, furthermore, represent the narrative structure of each series.
First, Heo Gyun’s naming of “Jangsaeng” expresses respect and reverence for a character’s inner qualities, rather than merely denoting their outward appearance or social status. In Lim Bang’s “Jirisanromibongjin,” the name “Jangdoryeong” carries various meanings: it is a general jest about the character’s appearance, an expression of reverence for Korea’s foremost hermit, a representation of uniqueness, the name of the most pitiful and miserable beggar, and also the name of a high official, a king, and a hermit. The diverse meanings embedded in the name “Jangdoryeong” contain a critical thematic consciousness about the inability to discern inner reality due to a character’s outward appearance.
While this article analyzed the Jangsaeng narrative by series, an approa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s also deemed necessary. The Jangsaeng narrative shows a progression from the Jangsaeng series to the Jangdoryeong series. This aligns with the process of “Jeon”(傳) style works being adopted into yadam(野談, informal historical anecdot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direction is clearly revealed within each series and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semantic evolution of the names “Jangsaeng” or “Jangdoryeong.”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장생(蔣生) 계열: 신선성에 대한 경의
3. 장도령(蔣都令) 계열: 거지와 신선 사이의 파격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