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Anxiety Levels and Anxiety Factors among Beginner-level Learners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안성민(Sung-min A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293~31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assroom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level learners of Korean. Specifically,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underlying factors of anxiet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e Korean version of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was adapted for this study, a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19 beginner-level learners of diverse nationalities. The result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while the overall level of classroom anxiety was relatively low, certain situations provoked stronger emotional responses. Learners reported the highest anxiety when forgetting previously learned material due to nervousness, worrying about Korean language test results, or comparing their proficiency with that of peers. In contrast, they experienced relatively low anxiety in situations involving reluctance to participate, confusion during test preparation, and fear of instructor feedback, suggesting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toward instruction and classroom activitie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five distinct dimensions of classroom anxiety: interaction anxiety, self-efficacy anxiety, social comparison anxiety, evaluation anxiety, and lack of learning immersion. Notably, learners reported heightened anxiety during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and classmates, along with a lack of confidence i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discomfort with evaluative situations. Third, correlation analyses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the sub-factors. Social comparison anxiety and evaluation anxiety showed the strongest inter-factor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se two domains play a central role in shaping overall classroom anxiety. Peer comparison and performance-related situations emerged as particularly influential in elevating anxiety leve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classroom anxiety in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address learners’ emotional need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불안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