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Uzbek Monophthong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은경(Eu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30輯, 245~2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coustically compare the monophthongs of Korean and Uzbek in order to examine their phonetic similarity and predict possible pronunciation errors by Uzbek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the monophthong systems of both languages were first classified, and the shared use of IPA symbols was analyzed. Speech samples of six Korean monophthongs were recorded from 10 native Korean males and 15 native Uzbek males. F1 and F2 valu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mong six vowel pairs, two pairs (/a/ vs. /ㅏ/, /o’/ vs. /ㅗ/)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F1 and F2 values, while the other four pairs differed significantly in only one formant valu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espite apparent IPA similarity, the articulatory realization of some monophthongs differs between the two languages.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s of the Speech Learning Model-revised (SLM-r) and the Perceptual Assimilation Model for L2 learners (PAM-L2), the results suggest that Uzbek learners may assimilate unfamiliar Korean vowels into existing L1 categories, which may cause perceptual and production error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nunciation instruction and materials tailored to Uzbek-speaking learners of Korea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한국어와 우즈베크어의 단모음 체계
4.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 제130집 목차
- 19세기 후기∼20세기 중・후기 보은・당진 ‘ㅔ→ㅣ’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상의 차이
- 법령의 일상성 확보를 위한 문장 정비 유형 연구
- ‘장생 서사’의 두 갈래, 장생 계열과 장도령 계열
- 영신당(迎新堂) 강대성(姜大成)의 종교적 삶과 시가 작품들
- 1980년대 한국 지역잡지의 여성 재현과 아내의 역할 - '예향'을 중심으로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교실 불안 수준 및 불안 요인 분석
- 인지심리학과 한국어 어휘 교육의 접점 탐색 - 기억의 ‘부호화’ 관련 논의의 교육적 적용을 중심으로
-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의 상위성 - 안은 문장이라는 통사론적인 범주로서
- 한국어와 우즈베크어 단모음의 유사성 분석
- 서포 김만중의 공존의식과 소설적 발현 - <구운몽>을 중심으로
- 정본 윤동주 전집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