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Considering Future Capabilities: Focusing o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승옥(Seungok Kim) 조은영(Eunyoung Cho)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73~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학의 역할과 미래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도권 대학이 공식적으로 표방하는 핵심역량이 미래역량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주요 미래 역량 7가지(협업, 융복합성, 통합적 사고력, 문화예술 소양, 혁신, 변화 대응, 감성적 사고역량)를 선정하였다. 수도권 60개 대학의 인재상 및 핵심역량 관련 공식 문헌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핵심역량으로는 자기관리, 시민의식, 의사소통, 창의 등이 다수 표출되었으며, 대학별로 역량 체계가 간결형과 확장형으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시민의식, 융합, 의사소통이 가장 높은 연결성을 보였다. 미래역량 반영 여부에 있어, 협업과 융복합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영률을 보였지만, 통합적 사고력, 문화예술 소양, 혁신, 변화 대응, 감성적 사고는 낮게 나타나 고차원적 역량의 내재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수도권 대학들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고차원적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내재화하고, 학생 및 국가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적 및 행정적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gnizes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the importance of nurturing future talents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ms to analyze how effectively the core competencies declared by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reflect future competencies. To this end, seven major future competencies required of university students (collaboration, convergence, integrated thinking, cultural and artistic literacy, innovation, change response, and emotional thinking) were se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official documents related to the talent profile and core competencies of 60 universities. As a result, self-management, civic consciousness,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appeared most frequently as core competenc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systems were divided into concise and extended types by university. In particular, civic consciousness,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showed the highest connectivity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garding future competencies, collaboration and convergence showed relatively high reflection rates, while integrated thinking, cultural and artistic literacy, innovation, change response, and emotional thinking showed low rates, suggesting the need for internalization of higher-level competenci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help universities effectively embed future-oriented competencies and enhance stud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