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text and Factor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동엽(Dong-Yeob Jeong) 김성천(Seong Cheon Kim)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9~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들의 융합교육 실천 경험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한 질적연구로, 융합교육 실행의 맥락과 성공 및 실패 요인을 탐구하였다. 연구는 최소 한 학기 이상 융합교육을 실천한 중등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융합교육 실천 동기는 사회적 요구와 교육적 책임감(내적 요인), 교육제도의 변화 및 동료·관리자의 지원(외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융합교육 실행의 중심현상은 ‘융합교육 실행과 실천’이며, 인과적 조건은 자발적 동기와 외부 자극, 맥락적 조건은 긍정적·부정적 인식, 중재적 조건은 학교 문화, 동료 협력, 교사 전문성과 경험이었다. 융합교육 실행 과정은 동기 형성, 실행, 성공·실패 경험, 실천 전략 개발, 전문성 향상과 성장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주요 장애 요인으로는 교사의 역량 부족, 체계적 지원 미비, 경직된 교육과정, 입시 중심 교육 체제, 동료 협력 부족이 도출되었다. 반면 성공 요인으로는 교사의 창의적 접근, 협력적 학교 문화, 관리자 지원, 학생의 높은 참여도가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s the context, implementation proces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practices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focuses on teachers’ experiences to identify the conditions affecting convergence education, barriers to its implementation,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challeng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with 13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convergence education for at least one semester. Analysis followed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nclud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was ‘implementation and practice of integrated education,’ influenced by intrinsic motivation, external stimuli, school culture, peer suppor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past experiences. Key barriers included limited teacher competency due to insufficient training, rigid curricula, exam-focused education, and lack of collaboration. Successful cases were linked to creative approaches, peer collaboration, administrative support, and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The study highlights convergence education’s positive impact 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developed problem-solving skills and career awareness, while teachers gained confidence and refined their teaching philosoph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