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Career Education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of Career Education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윤창호(Changho Yoon) 김성천(Seong Cheon Kim)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47~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로 찾아가는 진로융합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진로교육 전문가들을 심층 인터뷰하고, 이들의 진로교육 철학과 실천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진로교육의 본질과 융합적 사고의 역할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문가들은 진로교육을 단순한 직업 정보 제공이 아닌 ‘삶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존재론적 여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이들은 자신의 진로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삶의 경험을 창의적으로 연결하며 융합적 사고를 실천적으로 경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유한 진로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은 감정, 예술, 과학, 언어 등 복합적인 요소를 통합한 수업 전략을 통해 학생들에게 융합적 사고를 경험하게 하였다. 이들은 감각 기반 예술 활동, 일상 사물의 재해석, 감정-이론-기술을 연결한 프로젝트 수업 등을 통해 학생의 자기 이해와 창의적 진로 설계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교육이 정체성과 삶의 의미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융합적 사고는 이러한 교육의 핵심 역량임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향후 진로교육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창의적 자기 설계의 교육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기반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ce of career education and the role of convergent think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Visiting Career Convergence Mentoring Program”. The findings reveal three key insights. First, the experts redefined career education not as mere information delivery or occupational guidance, but as an ontological journey for students to explore their identity and meaning in life. Second, the experts’ own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involv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nvergent thinking, whereby diverse life experiences were creatively synthesized to construct unique career identities. Third, the experts implemented integrative teaching practices that blended emotional, artistic, scientific, and linguistic elements, enabling students to engage in experiential and reflective learning. These included emotion-based narratives, reinterpreting everyday objects, and project-based learning that linked emotional insight with theoretical and technical understanding. The study highlights that career education must evolve into a learner-centered and identity-driven process, with convergent thinking serving as a core competency for students to navigate an uncertain and dynamic future. Th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for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career education toward creative self-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