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Integrative Desig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gital Media Literacy: The ‘Media’ Unit of Common Korean 1 & 2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저자명
송보라(Bora Song) 최정선(Jeongseon Choi) 이수지(Suji Lee) 최진영(Jinyoung Choi)
간행물 정보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251~299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DML) 관점에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공통국어 1, 2』 9종의 ‘매체’ 단원을 분석했다. 연구의 목적은 ‘매체’ 영역 성취기준의 구현 양상과 국어과 내 다른 영역과의 융합적 설계 방식을 확인하고, 학습 제재의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단원 구성, 성취기준 통합 방식, 학습 제재의 내용 및 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 교과서는 ‘매체’를 ‘읽기’, ‘쓰기’ 영역과 융합하는 방식을 택했다. 『공통국어 1』은 동물 보호 등 사회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개인 방송 등 디지털 매체를 제작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공통국어 2』는 방송, 영화 중심의 매체 비평 활동이 구성되었다. 각 교과서는 ‘분석과 평가’, ‘창작과 소통’ 역량은 비교적 충실히 다루어진 양상이나, 제작 이후의 ‘공유와 참여’, ‘윤리적 성찰’로 이어지는 활동은 부족하였다. 또한 AI 관련 제재가 일부 수록되었으나, ‘매체’ 교육의 핵심 요소로 융합되기보다는 부가적 소재로 다뤄지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다음을 제언하였다. 첫째, AI 리터러시처럼 변화하는 환경에 맞는 매체 교육 내용이 이후 교육과정에서 더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DML 역량의 균형을 위해 사회적 참여 및 윤리적 성찰을 강화하고, 수용-생산-성찰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프로젝트형 교수·학습 모델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AI 생성 콘텐츠의 비판적 검토-재구성-창작의 구조를 구체화하고 다양한 매체자료를 비교·분석하며 사회적 참여로 확장할 수 있도록 제재의 폭과 깊이를 확장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 units within nine Korean language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rom a Digital Media Literacy(DML) perspective. It examined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ve approaches across other language domai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aterial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textbooks integrated the “Media” domain primarily with ‘reading’ and ‘writing’. Common Korean 1 emphasized critical analysis of social issues and digital media production (e.g., personal broadcasting), whereas Common Korean 2 focused on media criticism centered on broadcasting and film. Competencies such as “analysis and evaluation” and “creation and communication” were generally well-addressed; however, activities involving “sharing and participation” and “ethical reflection” were insufficient. AI-related content appeared only as supplementary rather than as a core element. The study recommends strengthening AI literacy education,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and ethical reflection through integrated project-based learning, and actively using student-friendly new media and AI-generated content in curricul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공통국어 1, 2』 ‘매체’ 영역 성취기준 분석
Ⅳ. ‘매체’ 영역의 융합적 설계 분석
Ⅴ. 결론 및 연구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보라(Bora Song),최정선(Jeongseon Choi),이수지(Suji Lee),최진영(Jinyoung Choi). (2025).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연구, 11 (2), 251-299

MLA

송보라(Bora Song),최정선(Jeongseon Choi),이수지(Suji Lee),최진영(Jinyoung Choi).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융합교육연구, 11.2(2025): 251-2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