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Data-Driven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Focusing on Kepler's First Law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인규(In-Gyu Kang) 백성혜(Seoung-Hey Paik)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43~1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사적 맥락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사 분석을 통해 케플러가 '케플러 제1법칙'을 도출한 귀추적 사고과정의 과학적 맥락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NASA의 화성 궤도 데이터를 선정하고, 과학과 및 수학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귀추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Orange3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케플러 제2법칙'을 추론하고, GeoGebra를 통한 데이터 시각화와 데이터셋과 Orange3을 활용하여 '케플러 제1법칙'에 대한 가설 설정 및 검증을 실행하는 과학적 탐구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은 과학 탐구 과정과 데이터 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인 데이터 전처리의 필요성과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과학 탐구 가능성 그리고 과학자와 인공지능의 추론 과정의 차이를 인식하기를 기대한다. 추후 교수자를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검증하고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ata-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sc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tific context of Kepler's abductive reasoning process in deriving Kepler's First Law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of science. Based on this, Mars orbit data from NASA was selected, and the data was preprocessed and a dataset was constructed to promote abductive reasoning in learner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cience and mathematics curricula. Using Orange3 for data analysis, Kepler's Second Law was inferred, and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set hypotheses and verify Kepler's First Law through data visualization using GeoGebra and the dataset combined with Orange3. These activities were proposed as a data-driven AI-integrated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scientific inquiry process and data learning models. Through this program, we expect learner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active data preprocessing, the potential of scientific inquiry using data and AI, and the differences in the inference processes between scientists and AI. Further validation of the program's effectiveness for instructors and verification of its impact on learners are necessary in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