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Banks’ Approaches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 and Critical Service-Learning (CS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은효(Eunhyo Kim)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04~12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선행연구 및 주요 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뱅크스(Banks)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ritical Service-Learning, CSL)의 이론적 접점을 고찰하였다. 특히,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이 강조하는 ‘앎-관심-행동’의 단계적 발달 구조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구현되기 어려운 현실을 고려하여 이의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CSL의 핵심 요소인 사회정의 지향, 권력 분석, 상호성 추구를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연계함으로써 ‘비판적 다문화 서비스-러닝(Critical Multicultural Service-Learning, CMSL)’이라는 가상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예시로 제안한다. 제안된 CMSL 모형은 교과 및 교과 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교사와 지역사회 간 협력 구조를 통해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시민적 실천 역량을 동시에 함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CSL의 통합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그 적용에 있어 요구되는 이론적 정교화 및 제도적 기반에 대한 고려사항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integration of James A. Banks’ Approaches to Multicultural Curriculum Reform—particularly the Transformative and Social Action approaches— with the principles of Critical Service-Learning (CSL), in an effort to enhanc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review of key theories and prior research in both domains, the study examines how these two frameworks can complement one another. While Banks’ model promotes a developmental sequence of “Knowing-Caring- Acting” to cultivate students’ critical consciousness and civic engagement, its implement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has often been hindered by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Critical Multicultural Service-Learning (CMSL)—which synthesizes CSL’s focus on social justice, critical analysis of power structures, and mutuality with the staged learning goals of Banks’ framework. The CMSL model is presented as a hypothetical design intended to foste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ivic responsibility through both curricular and co-curricular learning experiences. Ultimately, this study argues that integrating Banks’ multicultural curriculum approaches with CSL offers a meaningful pedagogical pathway for advancing multicultural education.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theoretical refin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supports to enable the model’s effective implement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Ⅲ. 비판적 서비스-러닝(CSL)
Ⅳ.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과의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 탐색: 비판적 다문화 서비스-러닝(CMSL)
Ⅴ.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