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Disciplinary Literacy Development and Multimodal Text Read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저자명
박윤경(Younkyong Park) 서혁(Hyuk Suh)
간행물 정보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1호, 197~23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교과 문해력의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읽기)를 연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고등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 학생들의 독서 참여도, 독서 교육 및 독서 전략 요인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학생들의 독서 참여도가 독서 전략 활용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교과 학습 독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바, 과학·사회·수학 교과 문해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독서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과학·사회·수학 교과의 특성과 관련한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교육을 융합교육적 시각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교과별 주요 사례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교육을 교과 문해력의 융합 관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 및 사회 교과의 복합양식 텍스트 학습을 위해 교과 문해력을 고려한 사례를 디지털화하여 체험형으로 학생들이 읽을 수 있도록 이러닝 플랫폼에 구현한 디지털 콘텐츠 개발과 기술적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프로그램을 활용해 학생의 독서 수준에 맞는 개별화 교육 지원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주도성(agency)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 관리 시스템(LMS)과 다양한 이러닝 플랫폼(E-learning Platform)의 교육적 활용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to investigate the cultivation of disciplinary literacy and multimodal text reading.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93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EM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tudents’ reading engagement, reading instruction, and reading strategy factors. Reading engagement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nd ultimately influenced reading in academic subjec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reading instruction aimed at enhancing disciplinary literacy in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al studies, and mathematics. In particular, multimodal text reading educatio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from an integrated educational perspective. It is essential to support multimodal text reading instruction through cross-disciplinary approaches, using representative cases from each subject area. Furthermore, to enhance disciplinary literacy 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there is a need for digital content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support that allow students to engage in experiential reading through e-learning platforms. This includes the digitalization of subject-specific cases. Notably, the use of generative AI programs can enable personalized instruction aligned with students’ reading levels. To foster student agency in learning, it is also important to actively consider the educational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LMS) and various e-learning platfor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윤경(Younkyong Park),서혁(Hyuk Suh). (2025).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융합교육연구, 11 (1), 197-233

MLA

박윤경(Younkyong Park),서혁(Hyuk Suh).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융합교육연구, 11.1(2025): 197-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