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Microdegree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Professionals: A Case Study at H University Without a Psychology Majo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지영(Jee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71~1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마이크로디그리(Microdegree, 이하 MD)는 단기간 집중 학습을 통해 특정 분야의 전문 역량을 개발하도록 고안된 교육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 전공이 없는 H대학의 ‘심리상담 전문가 MD 과정’을 사례로 삼아, 해당 과정의 설계, 운영, 효과성 평가 및 개선 방향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임상심리사 2급 자격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1년 간 총 4개 과목(이론 2, 실습 2)을 학기별로 균형 있게 배치하고, 비전공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모듈형 학습 구조와 개방형 운영 체계를 기반으로 기획하였다. 운영은 과목을 순차 개설하고 정규 교과와 비교과 실습을 연계하여 실무 역량을 강화하였다. 실습 중심 수업은 상담실무와 심리평가 경험을 제공하며, 교수자와의 밀도 높은 상호작용을 통해 전공 수준의 학습환경을 조성하였다. 효과성 검증은 개설 1년간의 운영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행정데이터, 수료자 설문(객관식·서술형), 개별 인터뷰를 병행한 혼합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기술통계 및 내용분석 결과, 88명의 다양한 전공 학생들이 신청해 융합적 학습 수요가 확인되었고, 가신청자의 약 47%가 실제 수강으로 이어져 단기 집중형 모델임에도 안정적인 참여 전환율을 보였다. 설문과 인터뷰에서는 실습 경험,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진로 연계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1년 내 모든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구조적 경직성, 실습 시수 부족, 자격시험연계 미흡 등의 한계도 확인되었으며, 이론 선이수 후 실습 심화로 이어지는 유연한 구조 마련과 비교과 기반 실습 확대가 필요한 과제로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전공이 부재한 대학에서 학문성과 실천성을 갖춘 단기형 MD 과정의 사례를 통해, 향후 유사 프로그램의 기획 및 제도화에 참고할 수 있는 운영 모델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Microdegree (MD) is a short-term, intensive educational model designed to build specialized competencies.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Specialist MD Program” at H University, which has no psychology major. It analyzes the program’s design,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curriculum included four courses (two theory, two practicum) over one year, aligned with Level 2 Clinical Psychologist certification requirements. Its modular, open structure enabled non-majors to participate, with sequential courses and integrated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acticum. Practicum-based classes offered hands-on training in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supported by close faculty interaction. A mixed-methods evaluation using administrative data, surveys, and interviews assessed program outcomes. Results showed high interest from students in diverse majors (88 applicants), with 47% of pre-registrants enrolling. Participants valued practical experience, faculty engagement, and career relevance. However, challenges included a rigid one-year structure, limited practicum hours, and weak certification linkage. Suggested improvements include greater flexibility in sequencing and expanded practicum opportunities. This case illustrates how MD programs can support career readiness and qualifications, offering practical guidance for developing similar models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H대학의 심리상담 전문가 MD 과정의 기획 및 설계
Ⅲ. H대 심리상담전문가 MD 운영
Ⅳ. H대학 심리상담 전문가 MD 과정의 효과성 및 한계 평가
V. 향후 개선 방향 제언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