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Student Agency Using Convergence-Based Plann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현수(Hyunsoo Hong) 김성천(Seong Cheon Kim)
- 간행물 정보
- 『융합교육연구』제11권 제2호, 197~2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미래교육의 핵심 역량으로 학생주도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교육 현장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기존 학습플래너는 자기주도학습 도구로 활용되어왔으나, 본 연구는 학생주도성의 이론적 요소를 반영한 융합기반 플래너를 개발하고, 이를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학생주도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행연구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3차로 진행되었다. 1차(2021.7~2024.7)는 초등 1~중3 학생 대상 온라인 플래너 수업(512회, 9명 분석), 2차(2024.5~7)는 초4~중1 학생 7명 대상 대면 비교과 플래너 수업(12주), 3차(2024.10~11)는 고1~고2 학생 4명 대상 대면 방과후 수업(6주)으로 구성되었다. 융합기반 플래너는 시간·프로젝트 관리, 습관, 인간관계, 지식관리, 감사기록 등 학생주도성 요소를 도형 등 직관적 장치로 설계하였다. 학생주도성 변화는 플래너 기록 분석, 면담,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1차 실행에서 학생별 플래너 기록 방식의 다양성과 자기주도적 태도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스스로’, ‘자기주도’, ‘재미있게’ 등 긍정적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협력적 주도성과 신뢰 관계 형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3차 실행에서는 융합시간경영 방식 등 단계적 플래너 접근이 학생주도성(설문점수 3.8→4.2) 및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등 긍정적 변화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융합기반 플래너는 학생의 발달단계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단계적 교육이 필요하며, 신뢰 관계와 충분한 시간, 학생의 욕구 발견이 학생주도성 발현의 핵심임을 확인하였다. 플래너는 학습 효율 및 학생주도성발현을 위한 기초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대안학교, 홈스쿨링 등 비제도권 학생 대상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a new “convergence-based planner” designed to enhance student agency in public education, addressing the limits of existing self-directed learning tool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online planner classes for elementary students, face-to-face classes for older elementary students, and after-school sessions for high schoolers. The planner included features for time, project, habit, and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intuitive visuals. Student agency development was evaluated through planner record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increased self-directed behavior, with positive feedback such as “autonomy” and “engaging.” The middle phas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ust and co-agency, while the final phase found that a step-by-step approach improved leadership,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study concluded that effective student agency requires gradual instruction tailored to developmental stages, trust-building, sufficient time, and attention to individual needs. The planner proved helpful for learning efficiency and agency express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its use for alternative and homeschool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실행 및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 과학사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케플러 제1법칙을 중심으로
- 전공자율선택제 교양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서 도덕성 개념의 적용 방향성: 서울대학교 학부대학의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중등교육 혁신 방안 연구
- 진로교육 전문가의 융합적 사고 기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에 따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차이
- 미래역량을 고려한 대학 핵심역량 분석: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 뱅크스의 다문화 교육과정 접근법과 비판적 서비스-러닝(CSL)의 통합적 적용에 대한 탐색
- 융합기반 플래너를 활용한 학생주도성 발현에 관한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중등교사의 융합교육 실천 맥락과 요인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심리상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설계 및 운영: 심리학 전공 부재 H대학의 사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의 융합적 설계 분석: 『공통국어1, 2』 ‘매체’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