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ological, Growth, and Biochemical Traits in Tea Cultivars for Shaded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심두보(Doobo Shim) 성창현(Changhyun Sung) 김종철(Jong Cheol Kim) 신지훈(Jihun Shin) 정광희(Gwang Hui Jeong) 조경환(Kyung Hwan Cho) 손용휘(Yong-Hwi Son) 박주완(Juwan Park) 황정규(Jung Gyu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90~10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자생 차나무 유전자원을 수집·증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광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여 기존의 일본 품종(야부기다, Cv_01) 및 국내 육성 품종(참녹, Cv_10)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Cv_24는 엽록소 함량(SPAD 값)이 높고, 광합성 효율(O-J-I-P 곡선 및 Fv/Fm 값)이 우수하였으며, 감칠맛을 내는 테아닌 함량(275.6 mg/100 g)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전자혀 분석 결과 감칠맛(NMS 센서값)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Cv_24는 차광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고품질 가루녹차(말차) 생산에 적합한 생육 및성분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Cv_24는 기존 품종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차광재배 농가 및 국내 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llected and propagated genetic resources for a native Korean tea plant to select cultivars suitable for shaded environments. The Cv_24 cultivar was compared with the Japanese Yabukida cultivar (Cv_01) and the Korean Chamnok cultivar (Cv_10). The results showed that Cv_24 exhibited a higher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superior photosynthetic efficiency (O-J-I-P curve and Fv/Fm ratio), and the highest theanine content (275.6 mg/100 g), which contributes to umami taste. Additionally, electronic tongue analysis indicated that Cv_24 had the highest umami sensor value (NMS). These findings suggest Cv_24 possesses optim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raits for producing high-quality powdered green tea (matcha). Because Cv_24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existing cultivars, it is considered a promising variety for shaded cultivation in the Korean tea industry.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 「다부」와 「허실생백부」에 나타난 차명상의 유교 수양적 고찰
- 17세기 영국 왕실 차문화 기원에 관한 통념 연구
- 동북아 교류 상에 나타난 고려의 차문화 수용과 전개
- 영국 조지 시대의 티 트레이드 카드에 관한 연구
- 찻물의 미네랄 조성에 따른 홍차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특성과 상관관계
- 차광재배용 차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생리·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 보이차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맛 특성과 침출수 수질 특성 비교 연구
- 귤(Citrus unshiu)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H₂O₂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 보호 효과 비교
- 『한재 이목의 「다부」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평석(評釋)
- 전자혀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추출 조건별 맛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