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Goryeo Dynasty, which Appeared in Exchanges with Countries in North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오명진(Myung Jin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68~8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 성립 이전 해양네트워크의 핵심인 신라와 오월 및 서역의 삼각 교역상에서 불교, 향료 및 차의 결합으로 탄생한 뇌원차는 향료를 첨가하여 세밀하게 만든 고급 연고차이고 대차는 뇌원차와 ‘대별되는 일반품의차’라는 뜻일 가능성이 크다. 고려는 동북아 국가들과 교류를 전개하면서 외교 예물과 의례, 하사에 뇌원차로써이행하였다. 고려 중기에는 송 상인을 통해 다양한 중국차가 문인과 승려들 사이에 유입되면서 차문화가 다변화되었다. 이후 금나라는 예제를 중시하며 술을 중심으로 차를 사용하였고,점차 기록에서 뇌원차는 사라졌다. 원 복속기를 지나며 기후 변화와 전염병의 위험 속에서 약차 문화가 일어나는 가운데 잠깐 재조명되기도 한다. 고려의 차문화는 불교·향료·차의 결합으로 수용되었고, 실용적이고 의례적인 특성을 가지며 전개되는 과정에서 역사적 단계마다 변용이 있었다. 고려의 차 문화는 신라로부터 조선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맥락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Before the establishment of Goryeo, Noewon cha was born as a combination of Buddhism, incense material, and tea, from the triangular trade, the core of the maritime network involving Silla, Wuyue, and the Western regions. Noewon cha was a refined solid tea made with incense material, while Daecha refers to a “general tea,” distinct from Noewon cha. As Goryeo developed exchanges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Noewon cha was given as a diplomatic gift, a ceremonial offering, or a royal gift for subordinates. During the middle Goryeo period, Chinese teas introduced by the Song merchants became popular among scholars and monks, leading to a diversification of the tea culture. Later, the Jin Dynasty emphasized ceremonial systems, using tea with alcohol, and gradually, Noewon cha disappeared from historical records. After the period of Yuan’s rule, amidst climate change and the threat of epidemics, Noewon cha was briefly reintroduced as the medicinal tea culture emerged. Goryeo’s tea culture, shaped through Buddhism, incense material, and tea, was accepted and utilized. It developed practical and ceremonial characteristics, transforming each historical stage. Goryeo’s tea cultur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inuous context extending from Silla to Joseon.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 「다부」와 「허실생백부」에 나타난 차명상의 유교 수양적 고찰
- 17세기 영국 왕실 차문화 기원에 관한 통념 연구
- 동북아 교류 상에 나타난 고려의 차문화 수용과 전개
- 영국 조지 시대의 티 트레이드 카드에 관한 연구
- 찻물의 미네랄 조성에 따른 홍차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특성과 상관관계
- 차광재배용 차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생리·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 보이차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맛 특성과 침출수 수질 특성 비교 연구
- 귤(Citrus unshiu)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H₂O₂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 보호 효과 비교
- 『한재 이목의 「다부」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평석(評釋)
- 전자혀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추출 조건별 맛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