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irit of Tea Shown in the Tea Poems of Zen Master Gyeongbong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지미리(Mi-Ri Ji) 이병인(Pyong-In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봉선사(鏡峰禪師, 1892-1982)는 우리나라 근현대 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禪僧)으로, 또 생활 속의 선차문화(禪茶文化)를 주도한 다승(茶僧)으로 32편의 다시(茶詩)를 남겼다. 경봉은 사부대중(四部大衆)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깊이 있 는 선차정신이 내재된 다시를 남겼다. 경봉은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의 선풍(禪 風)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그대로가 불법(佛法)’이라고 설파하면서, 염다래(拈茶來)의 일완청다(一椀淸茶)를 통해 차 마시는 일을 통해 선을 생활화하고 대중화하고자 했다. 경봉은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을 가지고 선과차를 나누는 일을 실천함으로써 사부대중들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한편, 용기와 희망을 주어 자비심을 가지고세상을 살아가도록 했다. 이러한 경봉의 차정신은 조주(趙州)의 다풍(茶風)을 이어간 것으로 본래의 마음자리를찾지 못해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지표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Zen Master Gyeongbong (1892-1982) was a representative Zen monk of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Korea and a tea monk who led Zen tea culture. He was well-versed in poetry, calligraphy, painting, tea, and Zen and was called one of the five perfections. He was also highly regarded for his artistry. While continuing his intense Zen practice, Gyeongbong delivered many sermons to educate sentient beings and left behind 32 tea poems that combined tea and Zen. Based on the Zen style of daily tea, Gyeongbong preached that everyday life is Budda's Dharma. Gyeongbong's attempt to popularize tea drinking and practice Zen through Yeomdarae's Ilwancheongda was a continuation of Joju's tea culture. Gyeongbong's teaching that “we should use the Saha world as a stage and put on a great play” is to practice the spirit of Daseonilmi in that tea and Zen are one in people's daily lives. In this way, Gyeongbong comforted and encouraged the four classes of people through tea and Zen, giving them courage and hope so that they could live in the world with compassion. Gyeongbong's tea spirit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serve as a guide for modern people who are wandering without finding their original place in their hearts.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 「다부」와 「허실생백부」에 나타난 차명상의 유교 수양적 고찰
- 17세기 영국 왕실 차문화 기원에 관한 통념 연구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영국 조지 시대의 티 트레이드 카드에 관한 연구
- 동북아 교류 상에 나타난 고려의 차문화 수용과 전개
- 찻물의 미네랄 조성에 따른 홍차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특성과 상관관계
- 차광재배용 차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생리·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 전자혀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추출 조건별 맛 특성 분석
- 보이차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맛 특성과 침출수 수질 특성 비교 연구
- 귤(Citrus unshiu)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H₂O₂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 보호 효과 비교
- 『한재 이목의 「다부」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평석(評釋)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