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fucian Self-cultivation through Tea Meditation as Explored in Hanjae's Dabu and Husil-shaengbaekbu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이효정(Hyo-Jeong Yi) 홍석환(Suk-Hwan Hong) 이병인(Pyong-In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13~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부(茶賦)」는 한재 이목(寒齋 李穆, 1471-1498)의 차를 통한 수양에 관한 논의가 담긴 한국 최고(最古) 의 다서(茶書)로 한국차문화사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다부」에는 기호음료인 차를 사유의 음료로 승화시켜 명상을 통해 유가의 수양과 수기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재의 「허실생백부」에서는 유교적 명상(冥想)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찾아볼 수 있으며, 「다부」에서는 다사를 통한 명상의 과정이 삼품(三品), 칠수(七修), 오공(五 功), 육덕(六德)의 내용으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한재는 차명상의 과정에서 얻게 되는 함양의 경험을 통해 차와 내가 하나가 되는 동체의 경지를 오심지차(吾心之茶)’로 설명하고 있다. 「다부」에 나타난 차명상은 사람의 마음에 차의 성(性)과 리(理)를 공명시켜서,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인간 본연의 성품을 회복하려는 수양의과정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수양은 제세안민(濟世安民)의 도학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유학자의 윤리적 태도를 구현한다. 따라서, 한재의 차명상은 일상심의 마음공부로써,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도 바람직한 정신적 가치를 제시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Korea's oldest known tea text, Dabu (Rhapsody to Tea) written by Hanjae Yi Mok (1471-1498), explores tea as a medium for self-cultivation, and is considered a key resource in the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In Hanjae's Husil-shaengbaekbu (Rhapsody on Purity Born from the Empty Chamber),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nfucian meditation is articulated, whereas in Dabu the meditative process within the tea ceremony is systematically outlined through its discussion of Three Grades, Seven Stages of Cultivation, Five Achievements, and Six Virtues. HanJae described the state of unity between tea and the practitioner, achieved through meditative cultivation, as “the tea of my heart.” Tea meditation described in Dabu illustrates a process of self-cultivation aimed at restoring the original nature endowed by Heaven through resonating the nature and principle of tea within the human mind. Ultimately, such cultivation as a mental discipline embodies the ethical attitude of a Confucian scholar who strives to realize the Do-hak (the ideal: benefiting the world and bringing peace to the people). Thus, Hanjae’s tea meditation as a practical form of mindfulness embedded in daily life continues to offer valuable spiritual insight for the modern individual.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 「다부」와 「허실생백부」에 나타난 차명상의 유교 수양적 고찰
- 17세기 영국 왕실 차문화 기원에 관한 통념 연구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영국 조지 시대의 티 트레이드 카드에 관한 연구
- 동북아 교류 상에 나타난 고려의 차문화 수용과 전개
- 찻물의 미네랄 조성에 따른 홍차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특성과 상관관계
- 차광재배용 차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생리·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 전자혀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추출 조건별 맛 특성 분석
- 보이차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맛 특성과 침출수 수질 특성 비교 연구
- 귤(Citrus unshiu)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H₂O₂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 보호 효과 비교
- 『한재 이목의 「다부」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평석(評釋)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