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ological, Growth, and Biochemical Traits in Tea Cultivars for Shaded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심두보(Doobo Shim) 성창현(Changhyun Sung) 김종철(Jong Cheol Kim) 신지훈(Jihun Shin) 정광희(Gwang Hui Jeong) 조경환(Kyung Hwan Cho) 손용휘(Yong-Hwi Son) 박주완(Juwan Park) 황정규(Jung Gyu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90~10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자생 차나무 유전자원을 수집·증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광재배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여 기존의 일본 품종(야부기다, Cv_01) 및 국내 육성 품종(참녹, Cv_10)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Cv_24는 엽록소 함량(SPAD 값)이 높고, 광합성 효율(O-J-I-P 곡선 및 Fv/Fm 값)이 우수하였으며, 감칠맛을 내는 테아닌 함량(275.6 mg/100 g)이 가장 높았다. 또한, 전자혀 분석 결과 감칠맛(NMS 센서값)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Cv_24는 차광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고품질 가루녹차(말차) 생산에 적합한 생육 및성분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Cv_24는 기존 품종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차광재배 농가 및 국내 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망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llected and propagated genetic resources for a native Korean tea plant to select cultivars suitable for shaded environments. The Cv_24 cultivar was compared with the Japanese Yabukida cultivar (Cv_01) and the Korean Chamnok cultivar (Cv_10). The results showed that Cv_24 exhibited a higher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superior photosynthetic efficiency (O-J-I-P curve and Fv/Fm ratio), and the highest theanine content (275.6 mg/100 g), which contributes to umami taste. Additionally, electronic tongue analysis indicated that Cv_24 had the highest umami sensor value (NMS). These findings suggest Cv_24 possesses optim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raits for producing high-quality powdered green tea (matcha). Because Cv_24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existing cultivars, it is considered a promising variety for shaded cultivation in the Korean tea industry.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