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ea Trade Cards in Georgian England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원재원(Jae-Won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2호, 58~6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트레이드 카드는 명함의 원조로 상인들이 고객에게 건네주는 인쇄된 삽화 카드였다. 트레이드 카드는 사업체의 이름·특성·위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표현과 간결한 문자로 구성한 초기 광고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는 조지 시대 차 상인들이 사용한 트레이드 카드가 어떠한 특징이 있고, 차의 판촉 과정에서 수행한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영국 박물관에 소장된 200여 개의 티 트레이드 카드를 살펴보았다. 티 트레이드 카드에는상인의 간판과 같은 이미지로 사용된 판매 물품이 묘사되었다. 시누아즈리와 무역의 상징적인 표현이 반영된디자인은 여러 차 상인들에게 통용되었다. 때로는 영국적 상징이 등장하고, 상점 건물을 보여주어 지도의 기능을 했다. 이와 같이 티 트레이드 카드의 시각적 형상은 단순히 장식적 요소가 아닌 다층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시대가 표방하고자 하는 바를 담고 있었다. 일부 티 트레이드 카드는 거래 내역서로 사용되어차 상인과 차 소비자 사이에 신용을 주는 매개체가 되었다. 최신의 인쇄술과 예술가의 작품이 반영된 티 트레이드 카드는 예술품으로도 수집되었다. 티 트레이드 카드는 독창적인 차 판촉의 수단이자 조지 시대 차 상업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인 자료로 기능하였고, 차 광고를 시각화하여 예술로 영역을 확장 시켰다.
영문 초록
Trade cards were the original printed and illustrated business cards that merchants gave to their customers. Trade cards were an early form of advertising that comprised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ncise text about the nam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a business. This study examined approximately 200 tea trade cards in the British Museum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cards used by Georgian tea merchants and the role they played in promoting tea. Tea trade cards depicted items for sale, in the form of images like merchant signs. Designs that expressed chinoiserie and trade symbolism were common among many tea merchants. Sometimes British symbols were represented, and they functioned as maps showing store buildings. In this way, the visual appearance of tea trade cards was not simply a decorative element, but conveyed multilayered content and contained the message of the era. Some tea trade cards were used as transaction records, serving as a medium for establishing credit between tea merchants and tea consumers. Tea trade cards that reflected the latest printing techniques and artists’ works were also collected as works of art. Tea trade cards serve as historical data that allow us to understand the tea trade in the Georgian era. They also expanded the realm of art by being an original means of tea promotion and visual advertising of tea.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세기 조선 회화에 나타난 차도구와 음다 양상
- 경봉선사(鏡峰禪師)의 다시(茶詩)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
- 「다부」와 「허실생백부」에 나타난 차명상의 유교 수양적 고찰
- 17세기 영국 왕실 차문화 기원에 관한 통념 연구
- 동북아 교류 상에 나타난 고려의 차문화 수용과 전개
- 영국 조지 시대의 티 트레이드 카드에 관한 연구
- 찻물의 미네랄 조성에 따른 홍차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특성과 상관관계
- 차광재배용 차나무 품종 개발을 위한 생리·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 보이차 생산지 유형 및 제조 방식에 따른 맛 특성과 침출수 수질 특성 비교 연구
- 귤(Citrus unshiu) 부위별 항산화 활성 및 H₂O₂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HT22 세포 보호 효과 비교
- 『한재 이목의 「다부」에 보이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특징』평석(評釋)
- 전자혀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추출 조건별 맛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