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윤다빈(Da-Bin Yun) 조규판(Gyu-Pan Cho)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7권 제1호, 158~174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D대학교 재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소진과 학업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학업소진, 학업스트레스, 학업지연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은 부분매개효과 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이러한 어려움이 학업지연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업지 연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학업 적응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6 students from D University in Busan,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through online platform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via university community boards and departmental announcements.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academic burno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ird, academic stress also served as a partial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emotional exhaustion and situational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 to procrastination in academic settings.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aimed at alleviating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tress to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practical support system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training, stress management workshops, and time management programs that can enhance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and overall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7권 제1호 목차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놀이지원역량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 부산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상담전공 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다시-돌아가기를 통해 영유아교육평가의 두터운-지금 탐구하기
-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역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