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손유진(Yoo-Jin Shon) 김병만(Byung-Ma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7권 제1호, 197~2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협력적 실행연구를 수행하며 유아교육 과정평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식과 실천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5인의 유치원 교사가 참여한 본 연구는 줌(Zoom)을 활용한 5회차 협의회를 중심으로, 교사 간 상호작용, 실행의 공유, 피드백 순환을 통해 평가 실천의 새로운 가능성을 조명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초기의 혼란과 개인적 실천에서 출발하여, 점차 집합적 교사됨을 형성하며 유아의 놀이와 삶 속에서 의미를 생 성하는 감응적이고 윤리적인 평가 실천으로 전환되어 갔다. 특히 교사의 행위성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실천으로 확장되었으며, 유아, 교사, 부모, 동료 간의 관계망 속에서 유아교육과정 평가를 ‘지금-여기’의 생성적인 실천으로 새롭게 인식하려는 흐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육과정평가를 단순한 성취 판단이 아닌, 공동체적 돌봄과 응답의 윤리 속에서 형성되는 존재론 적 실천으로 바라보며, 교육 현장에서 평가가 보다 살아 있는 교육과정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 는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practice experienced by kindergarten teachers as they engaged in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ith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implement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Fiv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ver five sessions using Zoom. Through mutual interaction, shared implementation, and cycles of feedback, the study illuminated new possibilities for evaluative practi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achers moved from initial confusion and individually oriented practices toward a shared sense of teaching, gradually transforming their assessment practices into responsive and ethical engagements that generated meaning within children's play and daily life. Teacher agency was found to expand from the individual to the collective level, reflecting a broader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s a generative practice grounded in the ‘here and now’ of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peers. This study views curriculum assessment not as a simple judgment of achievement, but as an ontological practice rooted in communal care and the ethics of response.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enabling curriculum assessment to function as a living part of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7권 제1호 목차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놀이지원역량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 부산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상담전공 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다시-돌아가기를 통해 영유아교육평가의 두터운-지금 탐구하기
-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