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Impact of Cooperative Critique in Chinese Higher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Chen Jiaxin 심미나(Mina Sh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7권 제1호, 42~64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고등 미술교육 현장에 협동적 비평 교수법을 적용하여 그 교육적 효과와 한계 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기존 중국 미술 비평 교육은 이론 중심, 주입식 강의에 치우쳐 있으 며, 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주체적 표현 역량을 신장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 국 미술교육의 토론식, 협동적 비평 모델을 도입하여 7인의 국내외 현대 예술가 사례를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하였다.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소그룹 협업과 발표, 토론, 질의응답을 통해 작품 을 다각도로 해석하고 비평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비판적 사 고, 창의적 해석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수업 만족도 역시 크게 높아졌다. 동시에 제도적·문화적 제약, 교원 역량 및 자원 부족 등 현실적 한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협동적 비평 교수법이 중 국 미술교육의 혁신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며, 지속적인 제도 지원과 교수법 고도화의 필 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critique methodologies in Chinese higher art education, examining both their educational impact and limitations. Traditional critique instruction in China, dominated by lecture-based approaches, has limited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independent expression. To address this, the study adopted a discussion-based model inspired by Korean art education, integrating small-group collaboration, presentations, interactive discussions, classroom observations, and qualitative assessments such as student interviews and surveys. Results showed clear improvements: students developed stronger abilities to pose questions, engage with diverse perspectives, and interpret artworks creatively, with institutional survey data reflecting significantly higher course satisfaction. Nonetheless, specific challenges emerged, including rigid assessment systems, cultural resistance to open critique, lack of resources, and faculty unpreparedness for multidisciplinary teaching. The study also explores why the Korean model fits the Chinese context, noting shared cultural values, ongoing educational reforms, and similar instructional challenges. Ultimately, this research affirms cooperative critique as a viable innovation for Chinese art educ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refined methodologies, and critical reflection on cross-cultural adap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중국 미술교육에서의 협동적 비평 적용과 탐색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7권 제1호 목차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놀이지원역량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 부산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상담전공 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다시-돌아가기를 통해 영유아교육평가의 두터운-지금 탐구하기
-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역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