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이용수 3
- 영문명
- The Meaning of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lored through the OSMU Approach to 『Where the Crawdads Sing』
- 발행기관
- 한국창의인성학회
- 저자명
- 손연주(Yeon-Ju Son) 윤정진(Jeong-Jin Yo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과 문화』제7권 제1호, 119~1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재가 노래하는 곳』이라는 소설 및 영화 미디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배움의 방향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주인공 카야의 삶과 배움의 여 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적 배움의 함의를 고찰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후기 질적연구 방법론으로 폭소노미 지식분석에 의한 해석학적 글쓰기를 수행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함(Doing) : 사회적으로 힘 있는 지식이 아닌, 경험을 통해 나에게 힘 있는 지 식’을 통해, 표준화된 교육이 아닌 유아의 삶과 맥락에서 길러지는 자신에게 의미있는 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삶(Living) : LIFE가 아닌 LIVE를 통한 실천적 배움’으로 유아가 살아가며 직면하는 생존의 경험과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이 곧 역량 기반 교육의 실천이자 윤리적 배움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앎(Knowing) : 총체적 감정을 통해 지각되는 존재론적 배 움’을 통해, 감정과 관계, 정동을 기반으로 한 유아의 배움이 단지 인지적 성취를 넘어선 통합적 이고 고유한 개인의 성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설과 영화 등 OSMU 미디어를 교육적 맥 락으로 확장하여 유아교육에서의 배움의 의미를 새롭게 사유함에 기여하고, 배움의 철학적·문화 적 지평을 넓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reexamine the direction of learning emphasiz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rough the novel and film Where the Crawdads Sing. By analyzing the life and learning journey of the protagonist, Kya, the study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employed a post-qualitative methodology, utilizing interpretive writing through folksonomic knowledg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ing: Knowledge empower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 rather than socially dominant knowledg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eaningful learning grounded in a child’s own life and context, rather than standardized education. Second, “Living: Practical learning through living, not just life” emphasizes that the survival experiences and self-directed problem-solving processes that children encounter in daily life constitute a form of competency-based and ethical learning. Third, “Knowing: Ontological learning perceived through holistic emotions” illustrates that early childhood learning, based on emotion, relationship, and affect, extends beyond cognitive achievement to embody a unique and integrated personal growt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extend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OSMU (One-Source-Multi-Use) media such as novels and films, and by offering new philosoph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가재가 노래하는 곳』 카야, 유아교육과 만나다
Ⅱ. 연구방법
Ⅲ. 배움의 의미를 마주하는 장
Ⅳ. 『가재가 노래하는 곳』 배움의 유아교육적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 문화 제7권 제1호 목차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그릿과 놀이지원역량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 참여의 관계: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 미술교육에서 협동적 비평 교수법 적용의 효과 연구
- 부산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가재가 노래하는 곳』 OSMU(One-Source-Multi-Use)를 통해 살펴본 유아교육적 배움의 의미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상담전공 대학생을 위한 액션러닝 기반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다시-돌아가기를 통해 영유아교육평가의 두터운-지금 탐구하기
- 교사학습공동체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교육과정평가 경험의 실천적 변화 양상 연구
- 중국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 상호문화감수성의 매개역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