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이용수 3
- 영문명
- Explor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Digital Art Education Using AI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정(Hyeon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329~34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술교육 환경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에 기반하여학습자와 AI 간의 상호작용, 창작과 해석의 과정에 주목하였다. 즉, 학습자가 의미를구성해나갈 수 있도록 돕고 감상 및 비평 역량을 확장하는 실천적 도구로서 AI를위치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원리 이해’, ‘비판적 감상’, ‘프롬프트 설계’, ‘창작 및 재구성’ 네 가지 교수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때 미술교사는 교수·학습방법이나 교실 환경 차원에서 AI의 존재를 인식하고, 전략별로 각자의 역할을구체화 할 수 있다는 예시적 측면에 주목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와 비판적 수용 능력은 향후 미술교육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야 할 역량이다. 둘째, 교사는 AI에 대한 기술적 숙련뿐아니라, 학습자의 창의성과 표현 의지를 촉진하는 설계자로서의 전문성을 요구 받게된다. 셋째, AI는 교사와 학습자 사이에서 협업 가능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도구가 될 수 있으며, 오히려 학습의 주도권을 학습자에게 넘기는 전환적 계기를마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AI, as well as the processes of creation and interpretation, with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It positions AI as a practical tool that supports learners in constructing meaning and expanding their competencies in appreciation and critique. From this perspective, four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erived: ‘understanding principles’, ‘critical appreciation’, ‘prompt design’, and ‘creation and reconstruction’. The study highlights how art teachers can recognize the presence of AI in teaching methods and classroom environments, and exemplify their roles according to each strateg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and critical engagement are essential competencies that must be addressed in future art education. Second, teachers are required not only to attain technical proficiency with AI but also to develop professional expertise as designers who foster learners’ creativity and expressive intentions. Third, AI can serve as a collaborative tool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providing a transformative opportunity to shift the ownership of learning toward the learner.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전환 시대, 미술교육의 가능성
Ⅲ. AI 시대, 미술교사의 역할과 교수전략 탐색
Ⅳ.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제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