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Realism and Corporeality in the Paintings of Lucian Freud : Implications for Figurative Representation Education in Art College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영(Hee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278~301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는 인체를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형태로 묘사하기보다는 피부의 주름, 처짐, 무게감 등의 물질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인간의내면과 실존적 상태를 드러낸다. 또한 물감을 두텁게 사용하여 회화 자체가 살덩이로보이도록 하는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인물들의 불안, 고독, 불완전함을 표현하여심리적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해체와 왜곡을 통해 존재를 탐구한다. 한편, 미술대학의 인체 표현 교육은 정확한 외형 묘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이는 인체를사실적으로 재현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실기 수업 방식의 한계를성찰하고, 프로이드 인물화에 나타나는 응시, 물질성, 해체와 왜곡을 활용한 미술대학의 인체 표현 실기 수업 방안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Lucian Freud, rather than depicting the human body as an ideal form of beauty, realistically expressed the materiality of the skin, such as wrinkles, sagging, and heaviness, to reveal the inner self and existential state of humans. He also used a technique of using paint thickly to make the painting itself look like flesh, and expressed the anxiety, loneliness, and imperfection of the figures to create psychological tension, and explored existence through deconstruction and distortion. Meanwhile, human body expression education in art colleges focuses on accurate external depiction, which focuses on realistically reproducing the human body. This study reflects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ractical classes and suggests a plan for human body expression practical classes in art colleges that utilizes the gaze, materiality, deconstruction, and distortion that appear in Freud’s portrai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루시안 프로이드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Ⅳ.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