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Aesthet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layfulness in Lee Jung-seop’s Art Interpreted through Schiller’s Aesthetic Philosophy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영(Ju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257~2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함의를 탐구한다. 이중섭의 예술세계는 물리적인 한계에 종속되지 않고, 자율적주체로서의 미적 사유를 드러냈다. 이는 삶의 미적 경험방식과 그것을 작품 속에서온전히 구현하는 정신적 힘, 그 자유로운 정신의 가능성에 주목한 쉴러의 유희 개념과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사유를 바탕으로 유희하는 인간, 그 겸허함에서 정신적 자유를 느끼게 해 주는 이중섭 작품의 숭고함에 주목한다. 이중섭의 예술이 분열된 삶의 고통을 숭고하게 승화시킨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그의작품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고 이상적인 미적 교육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aesthetic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playful elements in Lee Jung-seop’s artwork, through the lens of Friedrich Schiller’s concept of aesthetic reason. According to Schiller, the realm of art transcends physical limitations and reveals aesthetic reason as an autonomous and liberating force. Grounded in this philosophical framework, the study examines how the sublime in Lee Jung-seop’s art evokes a sense of inner freedom, reflecting Schiller’s ideal of aesthetic educ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offer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educational value of art that harmonizes play, freedom, and human dignity.
목차
Ⅰ. 서론
Ⅱ.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적 사유
Ⅲ. 이중섭 작품의 미적 사유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