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이용수 5
- 영문명
- Entangled Aesthetics and Critical Imagination : Proposing an Art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AI Era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시내(Si Nae Kim)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111~14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인공지능(AI)과 알고리즘 기반 기술이 예술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인간과 비인간, 기술과 감수성, 창작과 윤리가 얽힌 교육적 실천의 새로운방향을 탐색한다. 예술교육이 단순한 기술 활용을 넘어서 존재론적, 사회문화적, 윤리적 감수성을 통합하는 교육 실천으로 확장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본 논문은 Karen Barad(2007)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 Nicholas Leonard(2020)의 Entanglement Art Education(EAE), 그리고 비판적 미디어리터러시 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초등 고학년부터 중학생 대상의 AI 기반미술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였다. 제안된 커리큘럼은 ‘공동 창작하고 비판하라(co-create and critique)’는 교육 철학을 중심에 두고, 존재론적 이해, 알고리즘해석, 감응적 실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적 수업 구조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AI 시대 예술교육이 는 AI 시대 예술교육이 인간-비인간-기술의 관계 속에서 구성되는 주체성, 사회적 감수성, 기술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적상상력’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a new direc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in art educatio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algorithmic technologies. In an era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technology and sensitivity, creation and ethics are deeply entangled, art education must move beyond the mere use of digital tools toward a pedagogical model that integrates ontological, sociocultural, and ethical sensibilities. Grounded in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Nicholas Leonard’s Entanglement Art Education, and theories of critical media literacy, this paper proposes an AI-based art curriculum designed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The proposed curriculum is structured around the pedagogical philosophy of “co-create and critique,” offering a stepwise learning model that links ontological inquiry, algorithmic interpretation, and responsive artistic practic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rt education in the age of AI holds the potential to recover a form of educational imagination—one that encompasses subjectivity formed within human-nonhuman-technological relations, social sensibility, and critical engagement with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커리큘럼 모델 제안: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