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Thinking and Empathy in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화(Jeong Hwa You)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9券 2號, 143~1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입장에서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를 탐구한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다. 디지털 기술 발달로 학생들의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향상이 중요해졌다.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나온 국내외 논문 18편을 선정해분석하여 시각적 사고와 공감의 관계를 과학적, 이론적, 실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뇌과학 연구에서 시각적사고가 정서적, 기억적 정보처리 과정이 공감능력과 연결됨을 밝혔다. 둘째, 철학적으로 시각적 사고와 공감은 형태심리학적, 인지심리학적, 구성주의적으로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VTS중심의 미술교육 활동은 ‘관찰-질문- 대답하기’, ‘상상과 추론하기’, ‘상보적 교수’, ‘타교과와 삶으로의 전이’라는 항목에서 작용했다. 특히, VTS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과 해석을 받아들이고감정이입과 몰입을 경험하도록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와 공감능력을 함께 기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학제간 연구와 미술교육 현장의 실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thinking and empathy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As digital technology advances, enhancing students’ visual thinking and empath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Eighteen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4 were analyzed from scientific,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brain science research links visual thinking and memory processing to empathy. Seco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particularly Gestalt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y, and constructivism —highlight a close connection between visual thinking and empathy. Third, VTS based art education effectively fostered skills such as ‘observationquestioning- answering’, ‘imagining and reasoning’, ‘complementary teaching’, and ‘transition to other subjects and life’. In particular, VTS activities encouraged students to embrace divers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visual thinking and empathy can be developed simultaneously. Further research requires interdisciplinary and practicebased approa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미술 학습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 미술 관심도의 조절 효과
- 늘봄학교 미술강사 역량 강화를 위한 모듈형 연수 모델 개발
- 미술교육에서 바라본 시각적 사고력과 공감능력의 관계
- 국내 미술관교육 학술 담론의 변천 과정 분석
- 생태 전환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 창작 수업 - 평가와의 연계 가능성 중심으로
- 쉴러의 미적 사유를 통해 본 이중섭 작품의 유희성에 관한 미적 교육의 함의
- AI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 AI 기술 도입에 따른 박물관의 변화와 교육적 함의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 루시안 프로이드(Lucian Freud) 회화의 사실성과 육체성 - 미술대학 인체 표현 교육에의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