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emporal Dynamics of Emotional Bias: An Analysis Using Reaction Times and the Drift Diffus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태진이(Jini Tae) 최원일(Wonil Choi)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3, 997~10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을 탐색하고, 정서 자극의 유형과 제시 시간(SOA: 100, 300, 500 밀리초)에 따른 편향 양상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정서 자극(실험 1: 정서 얼굴, 실험 2: 정서 단어)을 사용한 탐침 탐사 과제를 실시하고, 반응시간 및 정확률 분석과 함께 표류 확산 모델(Drift Diffusion Model, DDM)을 적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정서 얼굴 자극이 500 밀리초 동안 제시될 때 부정 정서 자극에 대한 회피 경향이 나타났으며, DDM 분석에서는 정서 자극과 자극-목표의 공간적 일치 여부에 따라 표류율이 달라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실험 2에서는 정서 단어 자극에 대해 유의한 정서 편향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비임상 집단에서도 특정 조건에서 정서 편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DDM을 활용해 정서 자극이 정보처리 과정의 구체적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attentional biases toward emotional stimuli in a non-clinical population and examined how these biases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emotional stimulus and its presentation duration (SOA: 100, 300, and 500 ms). To this end, participants completed a dot-probe task using two types of emotional stimuli (Experiment 1: emotional faces; Experiment 2: emotional word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on both reaction times and accuracy, alongside the application of the Drift Diffusion Model (DDM). In Experiment 1, attentional avoidance of negative facial expressions was observed only when emotional faces were presented for 500 ms. DDM analyses revealed that drift rates varied depending on the spatial congruency between the emotional stimulus and the target, indicating different patterns of evidence accumulation based on emotional valence. In contrast, Experiment 2 showed no significant attentional bias effects for emotional word stimuli.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emotional biases can emerge under specific conditions even in non-clinical populations and suggest that the DDM provides a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how emotional stimuli influence distinct stages of cognitive processing.
목차
1. 서론
2. 연구 1: 정서 얼굴 자극을 활용한 정서 편향 연구
3. 연구 2: 정서 단어 자극을 활용한 정서 편향 연구
4. 종합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 엘리트 학자의 학술적 기여와 지식불균형: ICA 펠로우의 정책 영향력 분석
- The Effects of Elderly Internet Use on Daily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Moderating Effects of Digital Efficacy
- A Recent Analysis of Markov Regime Shift Behaviors of the Korean Stock Market
- Dynamics of Term Structure and Macroeconomy with Market Uncertainty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3 Contents
- 불균형이 있는 다중 클래스 분류 문제에서 오버샘플링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방류가 수산물 가격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
- 다섯수치요약에 근거한 정규성 검정법 제안
- 사이버범죄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판별 모형에 관한 연구
- 자율주행 도메인에서 LoRA 기반 sLLM 파인튜닝 연구
- 한국어 뉴스 데이터의 AI 생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임베딩 방법과 머신러닝 모형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베이지안 헤도닉 가격 모형: 미술품 가격-제작 시기 연관성 연구에의 응용
- AI 기반 추천 시스템의 전략적 설계와 사용자 경험 변화 분석: MLOps 자동화를 통한 금융 앱 실험
- GMM을 이용한 경제적 자유 하에서 경제성장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과 금융발전의 영향 분석
- 순환신경망 기반 전력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제조설비 운영 상태 예측 사례 연구
- 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미가입 특성에 관한 실증분석
- 기업의 환경, 사회적 성과가 대규모기업집단 지배주주일가 임원의 보수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한국인 운전자의 운전스타일 분류 연구: MDSI의 문화적 타당성 검증
- 기업 회생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 기업의 문화적 자본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르디외의 문화적 자본 개념의 응용 관점에서
- 영구 장애 산재근로자의 장애 수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