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구 장애 산재근로자의 장애 수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Disability Acceptance on Quality of Life in Injured Workers with Permanent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박은솔(Eun-Sol Park) 이강표(Gang-Pyo Lee) 하소서(So-Seo Ha) 김진흥(Jin-Hong Kim) 이장한(Jang-Han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3, 981~99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구적인 장애를 얻은 산재 근로자의 장애 수용이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삶의 질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수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근골격계 장애 또는 말초 및 중추신경계 장애를 가진 만 19세 이상의 산재 근로자 140명으로,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장애 수용, 삶의 질,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문항에 대해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 장애인의 장애 수용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 수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삶의 질로 이어지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셋째, 장애 수용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 수용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관한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pathway from disability acceptance to quality of life through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purpose, 140 injured workers aged 19 years or older, who has musculoskeletal disorders or peripheral/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were measured the levels of disability acceptanc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e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quality of lif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with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솔(Eun-Sol Park),이강표(Gang-Pyo Lee),하소서(So-Seo Ha),김진흥(Jin-Hong Kim),이장한(Jang-Han Lee). (2025).영구 장애 산재근로자의 장애 수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 (3), 981-995

MLA

박은솔(Eun-Sol Park),이강표(Gang-Pyo Lee),하소서(So-Seo Ha),김진흥(Jin-Hong Kim),이장한(Jang-Han Lee). "영구 장애 산재근로자의 장애 수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3(2025): 981-9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