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Economic Issues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and Marital Life Evalu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박아르마(Arma Park) 김광환(Kwang Hwan Kim) 황혜정(Hye Jeong Hwang)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3, 965~98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부간 경제문제는 수입과 지출로 이루어진 재정 문제를 넘어 결혼생활에 대한 평가는 물론 삶의 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부부의 경제문제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이미 이루어졌지만 양 측면에서 개별적 사안으로 분석된 경우가 많고, 통합적으로 두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서 교차 및 비교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 목적에 맞추어 설문 문항을 설계하고 여론 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결과를 추출했기 때문에 연구 목적과 주제에 따른 신뢰성과 정확성을 충분히 확보했다고 판단한다. 연구결과 부부의 경제적 상황은 결혼생활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젊은 층의 경우 맞벌이 비율이 높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커 결혼생활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중장년층은 경제적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가계대출과 자녀 교육비 부담 등으로 경제적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년층은 국민연금 수령 및 주택 소유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경제적 안정성이 커서 결혼생활 만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부의 경제적 안정성은 결혼생활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따라서 젊은 부부를 대상으로 주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부부 상담, 교육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복지 정책을 강화하여 개인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향후 부부관계 개선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Economic issues between couples significantly impact both marital satisfaction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se issues go beyond simple income and expenditure concerns. Previous studies have treated economic and marital issues separately.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analyzing their interrelationship. This study aimed to fill that gap through a cross-sectional and comparative approach. A professional survey agency conducted the data collection to ensure reliability. The findings reveal that a couple’s economic situation strongly affects their marital satisfaction. Young couples often face economic difficulties despite high dual-income rates. These challenges lower their satisfaction with married life. Middle-aged couples enjoy more stability but face stress from loans and education costs. Older adults show higher marital satisfaction due to pensions and home ownership. Economic stability is thus a key determinant of marital satisfaction across age groups. Policy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housing security for younger couples. Lifecycle-based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he study offers valuable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enhance couple relationships and life quality.measures to improve couple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아르마(Arma Park),김광환(Kwang Hwan Kim),황혜정(Hye Jeong Hwang). (2025).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 (3), 965-980

MLA

박아르마(Arma Park),김광환(Kwang Hwan Kim),황혜정(Hye Jeong Hwang).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3(2025): 965-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