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se of LMS for Korean Writing Class in Post-Corona : Focusing on Google Classroom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장지영(Ji-yeong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279~3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구글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을 학습관리시스템(LMS)으로 활용하여 과정 중심 쓰기를 실현할 수 있는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리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전통 적인 쓰기 수업 방식에서 한 발짝 나아가서 패들렛, 잼보드, 구글 독스, 구글 폼즈 등의 여러 온라인 도구를 구글 클래스룸과 연동하여 활용하여 학습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 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의 작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과정 중심 쓰기 수업을 구현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한국어 쓰기 수업은 학습자들의 컴퓨터 쓰기를 촉진시킬 수있고 포트폴리오 평가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수업 결과 학습자들은 상호작용, 수업의 통제, 흥미도, 매체 활용 효능감, 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바일로도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한 쓰기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의 LMS 활용 효과를 검증해 나가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ase of a Korean writing class that can realize process-oriented writing by utilizing Google Classroom a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Taking a step beyond traditional writing classes for learners referred to as “digital natives,” this course intended to facilitate learning management using various online tools such as Padlets, Jamboard, Google Docs, and Google Forms with Google Classroom. Importantly, teachers of this course constantly interact with learners while monitoring their writing processes in real time to implement process-oriented writing classes. Writing classes like this can enable computer writing and can be used for portfolio evaluation. Learners positively evaluated the writing classes using Google Classroom, noting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levels of interaction, control of classes, interest, media utilization, and the classes as a whole,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content could be learned on mobile devices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Further studies should test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LMS in Korean writing classes with more learners.(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LMS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 설계
4. 한국어 쓰기 수업 플랫폼으로서의 구글 클래스룸 활용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