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Ukrainian consonants through Comparison of Acoustic Featur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심현주(Hyunju Sh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147~1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크라이나인 학습자를 위한 실제적인 한국어 자음음가의 표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의 음향자질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의음가 표기 방식을 참고하여 두 언어의 자음 간 대응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음향자질 비교를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한국어 자음의 음향자질 특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우크라이나어 음성자료를 실험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각 자음별 음향자질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두 언어의 자음별 음향자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자음의 음가를 우크라이나어로 표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ㄴ, ㅁ, ㄹ’은 우크라이나어 ‘Н, М, Р/Л’과 음성적으로 유사하여 발음을 제시 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ㄱ, ㄷ, ㅂ’과 ‘ㄲ, ㄸ, ㅃ’에는 각각우크라이나어 유성음 ‘Ґ, Д, Б’와 무성음 ‘К, Т, П’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한국어 파열음 ‘ㅋ, ㅌ, ㅍ’와 마찰음 ‘ㅆ’에 대응하는 우크라이나어 자음은 없었다. 그리고 ‘ㅈ, ㅉ, ㅊ’는 각각 우크라이 나어 ‘ДЖ, Ц/ДЗ, Ч’에 대응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and Ukrainian consonants so as to propose a practical transliteration of Korean consonants for Ukrainian learner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were examined concerning how Korean and Ukrainian consonants' pronunciations were written. In order to compare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and Ukrainian consonants,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sonants – which are presented in prior research – have been summarized. Next, the Ukrainian utteranc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measure the acoustic quality of each conson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honetic transliterations of Korean consonants in Ukrainian were proposed. 'ㄴ, ㅁ, ㄹ' were similar to Ukrainian ‘Н, М, Р/Л’ with acoustic characteristics. 'ㄱ, ㄷ, ㅂ' correspond to Ukrainian voiced ‘Ґ, Д, Б’, while 'ㄲ, ㄸ, ㅃ' correspond to Ukrainian voiceless ‘К, Т, П’. However, there were no Ukrainian consonants that correspond to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aspirated ' ㅋ, ㅌ, ㅍ' and a tensed fricative 'ㅆ'. The affricative 'ㅈ, ㅉ, ㅊ' corresponded to Ukrainian 'ДЖ, Ц/ДЗ, Ч', respectively.(South Ukrainian National Pedagogical University named after K. D. Ushynsk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에서의 자음체계와 음향자질
3. 우크라이나어 음성자료 수집과 분석
4.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의 대응 양상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