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vocabulary list selection research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유경(Yoo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247~27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을 위한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국가 주도로 이루어진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방법과 절차,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방법과 절차의 분석을 위해 각 연구들이 토대로 한 말뭉치와 빈도 조사 자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어휘 선정에 적용한 객관적 방법, 주관적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의 어휘 선정 연구가 이룬성과와 그것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의 어휘 목록 선정 결과와 비교할 때 최근의 목록은 방법과 절차가 객관적이고 세분화된 양상을 보인다. 둘째, 최근의 연구들은 숙달도를 고려한 등급별 어휘를 세분화하여 정리하였다. 셋째, 각 연구별 목록 간의 차이가 해결되었다. 넷째, 제시된 어휘의 형태가 대부분일치하였다. 다섯째, 현 상황에 맞지 않아 사용하지 않는 어휘들이 목록에서 제외되고 새로운 어휘들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시점을 고려할 때 보완해야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이전의 자료를 중심으로 구축된 말뭉치의 보완을 통해 현재 한국어의 상황을반영해야 한다. 둘째, 객관적 평정의 지표가 된 자료들 역시 2000년대초반까지의 자료라는 점에서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해진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어휘 목록 선정을 위해 이에 적합한 자료를 구축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challenges and achievements of vocabulary list sel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nalysis focused on research methods, procedures, and results in selecting vocabulary lists in Korean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argeted corpus and frequently surveyed data underlying each study. In addition, the validity of vocabulary lists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utilized for vocabulary selecti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vocabulary selection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results of lexical list selection from the 1990s to the early 2000s, recent lists show objective and granular methods and procedures. Second, recent studies have broken down the class-specific vocabulary considered mastery.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sts for each study were resolved. Fourth, most of the vocabulary forms presented was consistent. Fifth, vocabulary that is not used due to the current situation was excluded from the list and new vocabulary was included. However,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addressed: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hould be reflected through the supplementation of the corpus built around data prior to the 2000s. Second, data that have become indicators of objective assessment should also be supplemented.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utilize appropriate materials to select vocabulary lists keeping in mind diversified learner variables. (Kyonggi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분석
4. 논의 및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日本の小・中学校外国語科の連携 : 検定教科書の異文化題材に注目して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과서 분석 :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4) 기후와 생활(私たちの生活(四) 気候と生活)’을 중심으로
- 저출산 고령사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일본의 고등교육 혁신 방안 : 그랜드디자인 2040 구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