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in Real-time Online Korean Classes : Focusing on the KIIP Program Class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강수진(Suji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8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많이 전환하고 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강의를 수강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매체 효능감, 실재감,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본 후,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에 따라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재감은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쳤는데 매체 효능감은 수업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숙달도는 매체 효능감, 실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했고, 실재감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간 온라인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수업에서 실재감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many in-person classes have converted to virtual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have gained popularity due to circumstantial factors.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 efficacy, feeling of presence,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experienced by students who take Korean classes as part of the KIIP program in the real-time online format.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fluency in Korean and analyzes whether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result is that fluenc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lthough feeling of presence significantly affects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latter does not exhibit a relationship with media efficacy. This shows that fluenc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dia efficacy and feeling of presence and that the higher the feeling of prese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shows that in real-time online Korean classes—a part of the KIIP program—a feeling of presence affects the satisfaction of learning.(Yonsei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러니까’의 의미 기능과 실현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선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국어 쓰기 수업을 위한 LMS 활용 사례 연구 - 구글 클래스룸을 중심으로
- 음향자질 비교를 통한 한국어와 우크라이나어 자음 간 대응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조사 교체 습득 연구 - 양태성 이동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에 매체 효능감,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누워서 떡 먹기’의 문화 요소 고찰
- 자국어 보급 기관에서의 교원 운영에 대한 해외 사례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별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 말뭉치에 나타나는 ‘그러면’의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